이는 현재 국내 대도시지역의 NOx와 PM10 등 환경오염물질이 주로 도로, 비도로 등의 이동지역에서 화물차와 버스, 연료는 경유자동차에 의해 주로 배출된다는 지적 때문이다.
한국가스공사가 주최하고 한국천연가스차량협회와 한국도시가스협회가 주관한 가운데 5일 성남시 가스공사 분당 사옥 세미나실에서 열린 ‘천연가스차량 미래전략 포럼’에서 수원대 장영기 교수는 ‘자동차의 대기오염배출과 대기위해성’ 주제 발표를 통해 이같이 주장했다.
이날 포럼에서 장 교수는 “최근 WHO에서는 디젤PM을 1급 발암물질로 규정했고 미국의 대기 위해성 평가에서는 디젤 PM의 발암위해도가 다른 물질보다 매우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며 “우리나라의 자동차 부문 위해도는 디젤 PM의 배출량과 단위 위해도가 커서 다른 오염물질보다 위해도 기여율이 압도적으로 높은 것으로 추정된다”고 지적했다.
이는 디젤 매연과 유해대기오염의 주요 배출원이 화물차와 RV 등 경유차량과 비도로 이동 오염원이므로 이에 대한 배출실태 조사, 저감 대책 등 인체 위해성을 고려한 대기관리 대책이 필요하다는 의미다.
유시호 한국가스공사 경영연구소 박사는 ‘셰일가스 개발이 LNG시장에 미치는 영향’주제 발표를 통해 미국의 셰일가스 개발은 우리나라에 LNG 확보의 용이성, 도입선 다변화, 전통 가격공식 탈피, 수급변화에 탄력적인 대처 등이 가능할 것으로 분석했다.
유 박사는 북미지역의 “셰일가스 개발에 따라 가스전 및 거래시장에서 원료가스 구입이 가능해 가스전 개발시 LNG가격 변동 위험이 완화될 것”이라며 “정치적으로 안정된 북미 LNG 도입으로 도입선이 다변화 되면서 중동지역의 의존도가 완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또 “기존의 유가 연동에서 가스 허브 연동방식으로 변화를 통한 도입가격이 안정화되는 등 전통 가격 공식을 탈피할 것”이라며 “자유 처분권, 물량취소권 등의 확보로 능동적 수급대응이 가능해 원전 가동 중단 등에 따른 국내 수급 불안, LNG 프로젝트 개발 지연, 기동 중단 등 불확실성에 탄력적 대응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이밖에 이날 포럼에서는 ▲셰일가스 개발이 LNG시장에 미치는 영향(한국가스공사 경영연구소/유시호 박사) ▲국내 자동차 환경의 주요 현안들(친환경자동차기술개발사업단/정용일 단장) ▲자동차의 대기오염배출과 대기위해성(수원대학교/장영기 교수) ▲글로벌 NGV 국제협력 사업(한국환경산업기술원/유승민 선임연구원) ▲HCNG 엔진 기술개발 추진현황(한국기계연구원/최영, 김창기 박사) ▲복합소재 천연가스차량 용기(일진복합소재/허석봉 책임연구원) ▲전세버스 및 물류차량의 천연가스차량 보급 활성화방안((주)로/박홍준 대표) ▲Euro6 대응 350kw급 대형차량 및 발전기용 엔진개발(엑시언/김종헌 대표) 등의 주제 발표가 이뤄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