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은 완전히 태양광과 풍력 등 재생에너지가 중심이 된 사회로 탈바꿈하고 있다. 사진은 독일에서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한 태양광 발전소 주크스피체(Zugspitze) (사진=위키디피아) |
"태양광과 풍력 등 재생에너지가 최후의 승리자가 될 것이다."
현지시간 25일 호주의 리뉴이코노미(Reneweconomy)은 이에 관한 라이너 바케 독일 특임장관의 발언을 소개했다.
라이너 바케 독일 특임장관은 "독일은 전력망의 디지털화와 통합, 에너지효율 제고와 수송, 빌딩, 산업열 등 다른 에너지원에 관심이 옮아가고 있다"며 "재생에너지 값이 저렴해짐에 따라 화력발전 등 기존 발전시설을 교체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 "이때까지 아무도 태양광이나 풍력으로 공장의 기계를 돌릴 생각을 하지 않았지만 독일은 그럴 자신있다"며 "재생에너지가 최고의 에너지 시스템"이라고 덧붙였다.
독일에선 재생에너지가 2000년부터 개발돼왔고 17년이 지난 현재 다른 에너지원을 압도하는 최고 기술로 자리매김 했다.
재생에너지 가운데 태양광과 풍력의 비중이 가장 크게 성장했다.
독일에서 수력은 2000년 4.0%에서 2016년 4.1%로 비중이 불과 0.1%밖에 증가되지 않아 성장 잠재력이 없음을 보여줬다. 지열은 효율적이지 않았고 바이오매스는 효율적이지만 식품의 원료를 사용한다는 윤리적인 문제나 환경오염 이슈를 생산했다.
이런 이유로 바케 장관은 "태양광과 풍력이 최종 승리자"라고 말했다. 특히 "풍력과 대규모 태양광 발전 복합시설의 발전비용이 석탄액화가스화발전이나 기존 가스발전 수준"이라고 말했다.
바케 장관에 따르면 독일은 더 이상 재생에너지 비용을 논의하지 않는다. 심지어 원자력보다 더 싸다고 평가하기 때문이다. 대신 발전시설을 태양광과 풍력으로 재창조해서 합리적인 가격과 안정적으로 효율성있게 사용하는 방법을 고민한다.
기존 화석에너지에서 태양광, 풍력에너지로의 전환(the Energiewende)이 경제적인 효용성을 가지기 때문에 재생에너지는 더 이상 환경 측면에서만 강점을 가지지 않는다. 바로 경제적 성공과 직결된다.
바케 장관은 "재생에너지가 경제적인 성공을 보장하지 않는다면 독일 사회가 수용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말했다.
물론 에너지 전환이 저절로 이뤄지지 않는다. 정치권과 공공부문의 강력한 지원이 있어 가능했다. 독일 내에서도 석탄화력과 원자력 업계의 저항이 있었으나 재생에너지의 경제성이 증명되자 이내 태도가 누그러졌다. 이렇게 된데에는 정부뿐만 아니라 일반 시민들이 재생에너지를 강력히 옹호하고 전문가들이 경제성 있는 재생에너지 발전 체계를 제시하는 노력이 큰 보탬이 됐다.
물론 재생에너지 옹호자들이 석탄화력이나 원자력 업계를 탄압하지 않는다. 민주주의 사회에선 다른 주장이 용인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재생에너지로 이행해야한다는 사회전반의 컨센서스가 형성됐으며 결국 독일에선 재생에너지가 지배적인 에너지원이 됐다.
현재 태양광과 풍력을 선호하는 독일 국민의 비중은 78~87%다. 바케 특임장관의 최근 관심은 전력계통의 디지털화에 있다. 디지털화는 커뮤니케이션과 소프트웨어 확충에 필수적이며 재생에너지와 저장장치의 통합을 가져와 새로운 사업모델을 제시한다.
독일 정부는 전력망의 디지털화를 위해 법적인 틀과 산업 표준을 마련하고 여기서 축적된 데이터가 개인의 사생활을 침해하지 않고 안전하게 사용되도록 공공 부문과 협의를 거듭하고 있다.
전력망의 디지털화와 함께 여기에 쓰이는 스마트메터링과 에너지저장장치도 새롭게 각광받고 있다. 스마트메터링은 소비자의 전력소비형태를 기록해 통신으로 전송한다. 에너지저장장치는 발전된 전기를 계통에 바로 흘러보니지 않고 시간차를 두고 전송해 수익 기회를 창출한다.
가령 A공장의 전력소비 패턴이 낮시간대에 주로 이용한다면 스마트메터링은 이러한 정보를 발전사에 전송해 낮에 집중적으로 전력을 송출하거나 에너지저장장치에 보내 심야전기를 비축했다가 전력 사용이 피크에 이르는 낮에 배전하도록 조작할 수 있다.
독일은 스마트메터링과 에너지저장장치, 태양광-풍력 복합장치를 활용한 사업 모델을 개발하고 있으며 이것이 미래 독일 사회 모습을 바꾸리라 전망하고 있다.
바케 장관의 또다른 관심사는 유연한 전력공급이다.
바케는 더 이상 대규모 발전사업자의 도매가격의 전력에 관심 갖지 않을뿐더러 국가가 인위적으로 전력가격 상한선을 설정하지 않는다. 즉, 관심이 몇 킬로와트 규모의 발전소를 짓는데에서 시간당 얼마만큼의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지에 옮아갔다. 가격 상한선도 없으니 좋은 사업모델을 가진 사업자들은 얼마든지 돈을 벌 수 있다. 정부가 하는 일은 다양한 사업모델이 전력시장에 등장해 자유롭게 거래할 수 있도록 제도를 마련하는 일이다.
이러한 독일 사회의 노력은 파리 UN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 이후 더욱 힘을 받을 전망이다. 화석연료에 탄소가격이 부과되면 더 이상 석탄화력이 경쟁력을 갖기 힘들어지기 때문이다. 원자력도 폐기물 처리 비용과 폐로 비용이 합산되면 가격경쟁력을 잃기 쉽다.
바케 장관은 "독일 사회가 전력산업 모델이 새롭게 바뀌는 시대에 살고 있으며 되돌리기 어렵다는 점도 알고 있다"고 말했다.
[에너지경제신문 안희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