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리튬이온전지 안전기준을 강화하면서 국산 IT제품 수출에 타격이 불가피 할 것으로 전망돼 업계가 중국 정부에 건의서를 전달했다. (사진=삼성 SDI) |
비관세장벽협의회는 리튬이온전지 수출품에 대해 중국 측이 안전기준을 강화하는 것과 관련해 제도 도입 시기를 늦춰달라고 중국 측에 건의했다.
28일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비관세장볍협의회는 최근 국가기술표준원과 함께 이같은 내용의 정책 건의서를 중국 국가품질감독검역총국 및 국가인증허가감독관리위원회에 전달했다.
중국 정부는 지난해 10월 중국강제성제품인증(CCC) 때 리튬이온전지 관련 안전기준 준수 여부를 검증하겠다며 오는 31일부터 시행하겠다고 공표했다.
이에 우리 업계는 새로운 규격 인증을 받으려면 대개 6개월 이상 걸리는데 이번에는 시간이 충분하지 않다고 어려움을 호소했다.
휴대전화, 노트북 등 휴대용 전자제품에 주로 사용되는 제품으로 애초 예정대로 제도가 시행되면 다음 달부터 우리 제품의 대중국 수출에 타격이 생길 전망이다.
비관세장벽협의회는 중국 측의 회신 및 진행상황을 파악해 전지산업협회 등과 추가 대응책을 마련해 나갈 방침이다. 국가기술표준원도 한·중 자유무역협정(FTA) 공동위원회 등을 통해 지속적으로 문제를 제기하기로 했다.
한창희 무역협회 통상협력실장은 "한중 FTA 시대를 맞아 90% 이상의 관세가 철폐될 예정이지만 각종 비관세장벽으로 인해 우리 업계가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이와 관련해 비관세장벽협의회 사무국은 정부와 함께 지속적으로 대응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비관세장벽협의회는 민관공동협의체로 정부 부처와 경제 단체 등 40여개 기관으로 구성됐다. 산업통상자원부 통상차관보가 위원장을 맡고 무역협회 통상협력실이 사무국 업무를 진행한다.
한편, 리튬이온전지는 한·중·일 간 치열한 기술경쟁 대상이다.
2014년도 소형 이차전지의 시장점유율을 비교하면 삼성SDI가 20.5%로 1위이고 LG화학이 15.9%로 2위를 점하고 있다. 두 회사의 점유율이 전체의 36.4%이다.
일본은 파나소닉이 14.3%, 소니가 7.5%, Maxell 1.9% 등으로 전체 점유율이 23.7%이고, 중국은 ATL이 6.0%, Lishen이 5.5%, BYD가 3.0%, Coslight 2.8%, BAK 1.8% 등으로 개별기업은 점유율이 낮지만 워낙 기업들이 많아서 전체를 합치면 38.2%로 3국 중 가장 높다. 중국은 중국 내수시장을 바탕으로 규모를 키우고 있다.
2차전지란 충·방전이 가능한 에너지 저장장치로, 1차전지가 완전 방전 후 버려야 하는 것과 달리 충전을 통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스마트폰, 노트북 등 IT기기용 전원뿐만 아니라 전기차용 전지 그리고 대용량 발전에너지의 저장장치(ESS)에 이르기까지 용도가 다양하다.
[에너지경제신문 한상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