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한상희 기자

hsh@ekn.kr

한상희 기자기자 기사모음




아이폰 부진에 앱스토어로 ‘돌파구’…애플, 앱 개발자 수익 배분 바꾼다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16.06.09 13:32
아이폰 부진에 앱스토어 ‘집중’…애플, 앱 개발자 수익 배분 바꾼다

수익배분시 앱개발자 70%→85%로

APPLE-BONDS/TAIWAN

▲ 앱개발자 70%→85%로

[에너지경제신문 한상희 기자] 아이폰 판매가 정체된 애플이 중요한 수익원으로 떠오른 앱스토어를 전면적으로 개편해 새로운 활로를 찾고 있다. 구글도 곧바로 대응에 나서는 등 앱스토어 생태계에 큰 변화를 불러올 조짐이다.

애플이 애플리케이션(이하 앱) 판매에 따른 수익을 배분할 때 앱 개발자의 몫을 70%에서 85%로 늘리기로 했다.

애플은 이날 사용자가 정기적으로 사용료를 내는 ‘구독 방식’의 유료 서비스 앱 개발자들에게 돌아가는 수익 배분 비율을 70%에서 85%로 오는 13일부터 상향 조정키로 했다고 발표했다. 다만 이는 가입자가 1년 넘게 이용료를 지불하는 시점부터 적용된다.

애플은 또 올해 가을부터 모든 앱 개발자들이 구독 방식 앱을 쓸 수 있도록 했다. 지금까지 애플은 애플 뮤직 등 자체 서비스와 잡지·신문·영상 등 일부 서드파티(제3자) 서비스에 한해 구독 방식 서비스를 운영해 왔다.

이는 ‘앱 시대’가 저물면서 세계 앱 시장 성장이 주춤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개발자들과 사용자들이 애플 앱스토어를 계속 이용하도록 인센티브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사무용 프로그램 등 생산성 도구와 게임 등에 쓰이는 사례가 많을 것으로 전망된다.

외신들은 2008년 앱스토어 탄생 이후 가장 획기적인 변화라고 평가했다. 중화권 성적 부진으로 13년만에 처음으로 올 1분기 매출이 줄어들었고 아이폰 판매 증가세 둔화, 주가 하락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애플이 앱스토어 생태계 개편에 승부수를 띄운 것이다.

파이낸셜 타임스는 애플이 앱 개발자들에게 후한 조건으로 수익 배분 비율을 조정함에 따라 스포티파이와 판도라 같은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의 수익성이 개선되는 것은 물론 수익 모델 창출에 고심해온 다른 미디어 기업들의 숨통이 트일 것이라고 진단했다. 필 실러 애플 글로벌 마케팅 담당 선임부사장은 "앱 개발자들이 유료이용자들을 유지하느라 온갖 노력을 하고 있다는 것을 잘 알고 있다"면서 "더 많은 수익 배분이 보상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애플은 수익 배분 비율을 조정한 데 따른 손실은 앱스토어에 검색광고를 도입해 보충할 계획이다. 구글의 검색광고처럼 더 많은 노출을 바라는 앱 개발자들이 앱스토어 검색결과의 상단에 배치되는 광고를 살 수 있도록 하겠다는 것이다.

이번 조치는 내주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애플의 연례 개발자회의를 앞두고 나온 것으로, 앱스토어의 비약적 성장에 기여한 앱 개발자들 사이에서 불만이 높아가고 있는 것을 반영한 것으로 풀이된다.

킹과 슈퍼셀 같은 덩치 큰 개발자들이 앱스토어를 주도하는 데다 출시된 앱이 무려 150만 개에 달하는 탓에 영세 개발자들은 이용자 확보와 지속적인 수익 창출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애플은 앱의 심의 과정이 오래 걸린다는 불만에 대해서도 대책을 제시했다. 애플은 1주일 이상 걸리던 심의 절차를 현재 24시간 내로 단축했다고 밝혔다.

애플의 이같은 앱 정책 변화는 애플의 전세계 마케팅 책임자인 필 실러 수석부사장(SVP)이 미국의 정보기술 전문매체 더버지와 인터뷰에서 공개한 데 이어 개발자 사이트에 공개됐다.

실러는 1997년부터 애플 고위 임원으로 일했으며 7개월 전부터 앱스토어 부문 책임도 맡고 있다.

애플은 아이폰 등 하드웨어 매출 성장이 한계에 부딪힌 상황에서 앱스토어나 애플 뮤직 등 소프트웨어·콘텐츠·서비스 부문의 성장에 박차를 가하고 이를 통해 고객을 애플 생태계에 붙잡아 둘 필요성을 절실히 느끼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