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천근영 기자

chun8848@ekn.kr

천근영 기자기자 기사모음




삐걱이는 민자발전, 화력건설 곳곳서 파열음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16.09.22 07:25

"수익도 여론도 최악…엎어질까 걱정"



민간기업의 석탄화력발전소 건설사업이 삐걱거리고 있다.

강릉 에코파워(안인화력)은 주민 반대로, 고성 에코파워(고성하이파워)는 자금 문제 그리고 GS동해전력(북평화력)은 EPC 건설사 법정관리 그리고 SK 당진에코파워와 포스파워(삼척화력)는 인허가 지연 등으로 난항을 거듭하고 있다. 더욱이 파리 기후협약 발효에 따른 ‘화력발전 축소’ 목소리와 최근 이슈화된 ‘미세먼지 진원지’라는 환경적 악재까지 더해져 건설사업이 한 치 앞조차 내다보기 어려운 상황이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높은 전력예비율과 낮은 용량가격이 수익성을 악화시켜 전 민전업계의 발목을 잡고 있어 안팎으로 사면초가 상태에 직면해 있다.

익명을 요구한 민전업계 한 관계자는 "현 상황이 계속될 경우 현재 짓고 있거나 계획 중인 민간 화력발전소 대부분은 계획 대로 준공을 맞추는 것은 불가능할 뿐 아니라 사업자체가 무산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을 것"이라고 단언했다.


◇민간 화력발전 뭐가 문제?

1호기 시운전 상태로 올 말 준공 예정인 GS동해전력의 북평화력발전소( GS E&R 51% 동서발전 34% 삼탄 15% , 설비용량 1190MW)는 EPC사업을 수주한 STX중공업 컨소시엄(STX건설 대림산업) 중 STX건설은 청산, STX중공업은 회생 절차를 밟고 있어 공사가 전면 중단된 상태다. 현 공정률은 97%가 넘는 상황에서 시운전만 마치면 준공이 가능한 상황에서 암초에 걸렸다. STX건설은 지난 7월 법정관리에 들어간 데 이어 최근에는 법원이 회사 청산 차원에서 매각을 추진했으나 두 차례나 유찰된 상태다. STX건설은 하청업체에 공사비를 지급하지 못한 상황이다. 이에 따라 지난 7월말 1호기. 오는 12월 2호기까지 완공하겠다던 계획은 물 건넌 상황이다. GS E&R 등 컨소시엄사는 STX중공업과 STX건설의 연대보증사인 대림산업에 사업 전체를 인수토록 하는 등의 대책을 협의하고 있으나 결론이 나지 않은 상태다.

홍전 GS동해전력 홍보담당은 "STX중공업에 사업이행관련 대책을 내달 15일까지 내놓도록 최고를 신청해 놓은 상태"라며 "STX중공업은 회생 절차를 밟고 있고,STX건설은 법원이 경영권을 가지고 있는 등 법적인 문제가 복잡한 상태라 계획 보다 준공은 늦어질 수 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했다.

공기업인 남동발전(29%)을 최대 주주사로 SK가스(19%)와 SK건설(10%)이 합작한 고성그린파워(고성하이화력, 설비용량 2080MW)는 나머지 42%는 강릉석탄화력유한회사가 재무적 투자자를 모집해 완료한 상황이다. 이 발전소는 지난해 11월 착공, 2021년 4월이 준공 목표다. 그러나 고성그린파워는 5조원에 달하는 투자비 중 4조원을 프로젝트 파이넨싱을 통해 조달할 계획이나 화력발전 축소와 낮은 생산원가 등이 악재로 작용해 진척이 없는 상황이다. 더구나 컨소시엄사는 KDB인프라자산운용과 주식 매수 청구권(풋옵션)을 행사가 가능한 계약을 체결해 고성그린파워(특수목적법인)에 참여 중인 기관이 투자금을 회수할 경우 사업 자체가 무산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사업의 수익구조가 불명한 상태에서 투자자 모집이 어렵다는 얘기다.

KB국민은행(42%) 남동발전(29%) 삼성물산(29%) 컨소시엄이 합작한 강릉에코파워(강릉안인화력, 설비용량 2080MW)는 주민 반대로 몸살을 앓고 있다. 시의원 중 일부 의원이 지난 12일 석탄화력발전소 건설 백지화 강릉 범시민대책위원회를 발족, 기자회견을 갖고 주민들의 건강을 심각하게 위협한다며 반대하고 있다. 이 사업은 2021년 10월까지 총 사업비 5조800억원을 투자해 1060㎿급 석탄화전 2기를 짓는 사업이다. 이 사업 최대 주주는 KB국민은행이다. 강릉에코파워 측은 내달부터 토지와 지장물 보상에 나설 계획이다. 이 사업은 지난해 10월 전원개발사업 실시계획승인이 난 사업으로 현재까지 약 1000억원이 투입됐으나 최근 송전선로 사업 추가 등의 사업비 변동부분이 컨소시엄사간 이견으로 지연되기도 했다.

박남석 강릉에코파워 차장은 "시의원 일부가 지역 환경단체 등과 건설백지화위원회를 발족해 활동해서 그런지 토지매입이 원활하지는 않은 상황"이라며 "올 10월 착공 예정이나 어떻게 될 지 모르겠다"고 했다. 강릉에코파워가 매입할 토지는 57만㎡로, 이 토지를 매수해야 착공이 가능하다. 강릉에코파워는 지난 3월 매입할 토지에 대한 감정평가를 마치고 5월 토지 소유자에게 통보한 상태다.

당진에코파워(1160MW) 역시 주민 반대가 걸림돌이다. 더욱이 최근에는 일부 국회의원과 시의원까지 미세먼지를 이유로 반대 의견을 내고 있어 더 골치다. SK가스(51%) 동서발전(34%) 산업은행(15%)은 지난 2014년 이 발전사업을 동부그룹에서 인수해 추진하고 있다. 이 사업은 지난 2009년 12월 동부건설이 화력발전소 부지확보를 위해 공유수면 매립을 위한 사전환경성검토 신청서를 대산지방해양항만청에 제출하면서 시작돼 2014년 12월 SK가스가 인수하기까지 5년 동안 진통을 겪은 바 있다. 주민들은 반대대책위를 꾸리고 그동안 동부발전에 전기사업허가를 내준 정부를 상대로 한 행정소송, 성명 발표 및 기자회견, 삭발 투혼, 환경영향평가 주민설명회 무산 등 갈등이 심했다. 이 발전소는 올해 말 착공, 2021년 11월과 2022년 3월 각각 580MW급 2기를 준공이 목표다. 그러나 이 지역주민들은 "현재 9·10호기 준공을 앞둔 당진화력발전소의 초대형화에 이어 또 다시 석탄화력발전소를 같은 지역에 입주시키는 것은 지역의 환경파괴를 가속화할 뿐만 아니라 송전선로 추가 건설을 야기하는 악순환이 반복된다"며 반대하고 있다. 갈등이 심해지자 산업부 전기위원회는 이 발전소에 대한 전원개발실시계획 승인을 계속 미루다가 이달 안건으로 올릴 것으로 알려졌다.

익명을 요구한 당진에코파워 한 관계자는 "토지매입은 90% 끝난 상태지만 미세먼지 문제가 불거지면서 반대가 심해진 상황"이라며 "부지정지공사는 올해 착공할 계획이나 계획대도 될지 아직은 알 수 없다"고 했다.

포스파워(삼척화력, 2000MW)는 더 급하다. 삼척시 적노동 일대(옛 동양시멘트 광산 부지)에 지을 이 발전소의 인허가 만료가 올 12월이기 때문이다. 동양파워를 인수한 포스파워는 지난 7월 5일 3년의 발전소 허가가 만료됐으나 6개월 유예를 받았다. 그게 12월 30일이다.

박월수 포스파워 지역협력부장은 "해양수산부는 삼척시와 해역이용 협약서를 작성해 제출하면 인허가를 진행하겠다해서 삼척시에 협의서를 보냈는데 답변이 없는 상황"이라며 "지난 4월 착공했어야 하는데, 지금은 유예기간 내에 해결될지 장담할 수 없는 상태"라고 했다. 포스파워는 포스코에너지와 KDB인프라자산운용이 각각 절반의 지분을 갖고 있다.

민전업계는 낮은 용량요금과 높은 전력예비율로 경영난을 호소하고 있는 민전사들의 마지막 보루격인 석탄화력이 오히려 이들의 고민을 가중시키는 애물단지가 되지 않을까 우려하고 있다.  



[에너지경제신문 천근영 기자]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