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04월 23일(화)
에너지경제 포토

에너지경제

ekn@ekn.kr

에너지경제기자 기사모음




[전문가기고]스마트카(Smart Car) 실용화 전망 및 사고방지 효과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16.09.22 07:47

보험개발원 자동차기술연구소 임장호 선임연구위원

29240

▲보험개발원 자동차기술연구소 임장호 선임연구위원


미국 자동차기술자협회(SAE)는 자율주행 단계를 0단계에서 5단계까지 총 6단계로 구분하고 있는데 운전자의 개입 없이 자동차 스스로 주행하는 완전자율주행은 4단계(고도의 자동화) 이상 5단계(완전 자동화)의 수준을 의미한다.

최근 미국 포드자동차는 뉴욕타임스를 통해 2021년까지 운전대, 가속페달, 브레이크가 장착되지 않은 완전자율주행차를 생산하여 택시나 우버 같은 차량공유서비스 업체에 공급하겠다고 발표했다. 불과 5년 후면 자율주행차가 상용화된다는 것인데 이는 포드가 100년 전 컨베이어벨트를 통한 대량생산으로 자동차 대중화를 이끈 것과 맞먹는 획기적인 변화라고 할 수 있다.

포드뿐만 아니라 자율주행차 개발에 열을 올리고 있는 각국의 자동차메이커들도 다소간 시기의 차이만 있을 뿐 한 결 같이 자율주행의 상용화를 낙관하는 분위기다. 시장조사업체 가트너는 2020년이면 자율주행기능을 갖추고 다른 차량 및 교통 인프라와 네트워킹하며 운행하는 이른바 커넥티드 차량이 2억5000만대에 달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반면 IT나 과학기술분야의 전문가들은 이와 달리 부정적인 전망을 내놓고 있다. 최근에 발생한 구글 자율주행차량의 접촉사고와 테슬라 차량의 사망사고를 예로 들면서 인공지능(자율주행) 차량의 기술이 아직 멀었다는 것이다. 현재의 고속도로 일정 구간을 제한적으로 자율주행하는 기술수준에서 도로구조가 복잡하고 교통체증이 심한 시내도로를 비오는 날 야간에 안전하게 자율주행하는 수준으로 발전하려면 앞으로 30년 뒤에나 가능하다는 구글의 말을 인용하며 기술발달사적 관점에서 30년 뒤라는 말의 의미는 실현불가와 동의어라고 이야기한다.

네트워크로 서로 연결되는 자율주행차량의 특성상 해킹에 대한 보안대책도 마련돼야 하고 스마트도로의 건설 및 정밀한 지도 제작 등 인프라도 동반해서 구축돼야 하기 때문이다. 사회학자들은 자율주행 도중 위급상황에서 사고회피를 위해 AI가 선택해 야할 조치의 우선순위에 대해 윤리적 측면에서 인류 전체가 컨센서스를 형성해야 하고 사고발생 책임소재를 규정할 법규 제정과 위험을 담보할 보험의 개발도 함께 이뤄져야 하는 등 상당한 시간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필자는 자율주행차량의 상용화에 필요한 기술개발은 향후 5년 이내에 교통 인프라 및 각종 제도 마련 등은 늦어도 10년 이내에 완성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미 실용화돼 있는 부분자율주행 차량의 기술적인 완성도와 사고예방 효과 및 운행 편의성 등 긍정적인 요인들이 그 가능성을 충분히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면 부분자율주행 또는 완전자율주행 차량의 상용화가 가져올 사고감소 효과에 대해 살펴보기로 하자. 영국 THATCHAM(기술연구소)에 따르면 교통사고의 90%는 운전자 부주의로 발생하는데 긴급자동제동장치인 AEB를 장착한 경우 추돌사고율이 38%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IIHS(고속도로안전보험협회, Insurance Institute for Highway Safety)가 보험사 및 경찰 자료를 분석한 결과에서도 AEB의 추돌사고 경감효과는 41% 수준이었다. 최근 영국의 신차 AEB 장착율은 21%(기본)~27%(옵션)에 이른다. 일본 JKC(기술연구소)의 조사에 의하면 교통사고의 29%는 주차장 사고인데 이중 15~40%가 주차 도중에 발생한 것이며 영국도 이와 유사한 실정이다.

주차지원장치인 SPAS는 국내에서도 장착이 일반화되고 있는데 주차사고 감소에 크게 기여 할 것으로 기대된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부분자율주행을 위해 장착된 일부 장치만으로도 사고예방 효과가 크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IIHS는 미국 내에서 안전장치 장착이 의무화 될 경우 2040년도 이전에 95%의 차량이 ADAS(운전자지원시스템)를 장착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