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포스코건설의 본사 건물. 사진=포스코건설 |
[에너지경제신문 안희민 기자] 포스코건설이 모럴해저드 시비에 휘말렸다. 회사 사정이 어려워 대폭 구조조정을 실시하면서 본사 사옥을 되샀다는 지적이 나왔다.
29일 한정애 국회의원(더민주)은 29일 포스코건설에 대한 비판을 쏟아냈다. 그는 포스코건설 경영진의 잘못을 종업원이 짊어지고 있고 경영진은 부동산을 사들이는 도덕적 해이를 보이고 있다고 비난했다.
한 의원은 "한찬건 사장이 2월1일 취임 후 상반기 경영실적이 전년 동기 대비 반토막 났다"며 "올해 상반기 매출은 3조3655억으로 전년 대비 1조833억원이 하락했고 특히 영업이익은 지난해 상반기 1381억원에서 올해 1771억원 적자로 반전됐다"고 지적했다. 이어 "해외 매출은 지난해 상반기 8486억원에서 올해 상반기 3394억원으로 절반 이하로 떨어졌다"고 덧붙였다. 그는 "이런 상황에서 포스코건설이 지난 6월 원래 자신들의 소유였던 인천 송도사옥을 테라피앤디로부터 되찾아왔다"며 "포스코건설이 지금처럼 어려운 상황에 굳이 송도사옥을 인수한 배경이 궁금하다"고 지적했다.
포스코건설은 창사 이래 처음으로 구조조정을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 의원에 따르면 포스코는 7월부터 연말까지 400명, 포스코건설은 19일~연말까지 530명, 포스코에너지는 300명 구조조정 완료, 포스코엔지니어링은 600명, 포스코ICT 2016년 190명 구조조정-190명 안식년, 포스코플랜텍은 2015년 412명 완료하고 올해 300명의 구조조정을 진행하고 있다. 이런 과정에서 정리해고를 담당한 이복성 전무가 자살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