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04월 17일(수)
에너지경제 포토

최홍 기자

g2430@ekn.kr

최홍 기자기자 기사모음




[2017 산업전망 ① - 철강] 내수 줄고 수출 소폭 증가, 美관세폭탄 대비해야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17.01.03 18:36
철강

▲(사진=에너지경제신문DB)

[에너지경제신문 최홍 기자] 글로벌 공급과잉과 조선업 침체에 따른 수요부진으로 작년 한 해 힘들게 보낸 철강업계는 올해도 그리 낙관적이지 않다. 내수 성장을 견인해오던 건설투자 증가세 둔화와 자동차, 조선 등 수요산업 부진으로 내수가 소폭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반면 수출의 경우 공급과잉에다 전세계적인 수입규제 강화로 환경이 좋지는 않지만 중국의 구조조정 효과 등으로 작년보다 4%대 성장이 기대돼 내수 부진을 어느 정도 상쇄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한국무역협회 무역연구원은 올해 국내 철강수출이 국내 업계의 수출 확대 노력과 단가 회복 등으로 작년 283억 달러(추정)보다 4.6% 증가한 296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측했다. 포스코경영연구원은 작년보다 3.3% 늘어난 3214만 톤을 수출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에 반해 산업연구원은 작년보다 0.7% 증가하는데 그칠 것으로 전망했다. 미국발 보호주의 움직임이 전세계로 확산되고 있어 국내 업계가 전략적 수출관리로 대응, 수출물량이 소폭 증가에 그칠 것으로 보인다.

내수소비의 경우 건설·부동산 경기 하락으로 0.6% 감소할 것으로 산업연구원은 내다봤다. 포스코경영연구원은 작년보다 1% 줄어든 5618만 톤에 그칠 것으로 전망했다. 이러한 내수 수요 소폭 증가세에도 수입은 단기 수급불균형에 의해 봉형강류 등 일부 제품 수입수요로 8.6%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국내 철강업계는 중국을 비롯한 신흥국의 과잉설비와 글로벌 보호무역주의, 원가상승의 제한으로 여전히 부정적인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실제 올해 세계 철강수급은 점차적으로 수요가 감소하고 있지만, 이에 따른 설비과잉은 지속되고 있다. 글로벌 철강수요 증감율은 2014년 0.8%, 2015년 3%, 지난해 0.5%까지 떨어지는 점차 완화되는 추세며, 올해는 0.3%까지 수요가 감소할 것으로 예측된다. 특히 세계 철강수요의 45%를 차지하는 중국도 올해 2% 정도 감소가 전망된다.

하지만 글로벌 수요가 감소하는 만큼 잉여 설비는 더 심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2015년 과잉설비는 7억6000만 톤이었지만 지난해 8억 톤대로 증가했다. 이는 전체 설비의 33% 수준이다. 무역연구원은 올해 과잉설비가 8억2000만 톤대로 증가 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에 따라 올해 글로벌 철강 설비과잉율이 34%까지 육박하면서 글로벌 보호무역주의는 더욱 심화될 것으로 예측된다.

무역연구원은 2017년 전망 보고서를 통해 "최근 미국은 과잉설비의 영향으로 50~60%의 반덤핑ㆍ상계관세 마진율 부과하기도 했다"며 "인도 역시 최저수입가격제, 반덤핑 등 이중 삼중의 동시ㆍ중복 규제를 진행하는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철강협회

▲(자료=한국철강협회)

단가도 원료가격이 점차 상승해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수출채산성 상승으로 이어질지는 미지수다. 철강 원료인 철광석과 원료탄 등 가격상승으로 국제가격도 상승할 것으로 기대된다. 지난해는 연초 대비 원료탄은 3배, 철광석도 90% 가까이 폭등했다. 이에 원가가 30% 이상 상승함에 따라 수출단가도 올라갈 전망이다. 다만, 원료가격 상승의 원인이 중국의 감산, 투기 등 일시적 수요로 나타난 것이기 때문에 지속가능할지는 불투명하다. 오히려 원료가격 상승은 올해 상반기 중에 하락세로 전환될 것으로 예상된다.

글로벌 시장의 대외적인 변수로 꼽히는 중국의 공급과잉은 앞으로도 지속될 것으로 분석된다. 현재 중국정부는 공급과잉 해소를 ‘13.5규획(제13차 5개년 계획)’의 핵심과제로 제시하고, 철강, 석탄 부문을 중심으로 제조업 과잉생산 감축을 위해 노력을 강화하고 있다. 중국은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부실기업 비중이 높은 철강 및 석탄 산업을 중심으로 국유기업 합병을 진행해 과잉생산 감축을 적극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하지만 인도 등 신흥국이 철강설비를 지속적으로 증설하고, 중국도 여전히 수요에 비해 공급이 많은 등 수급불균형 심화로 공급과잉은 한 동안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국내 철강업계는 주요수출지역과 품목에 대한 실시간 모니터링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특히 반덤핑, 상계관세 부과에 대한 선제적 대응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산업연구원 관계자는 "미국기업의 반덤핑, 상계관세 제소에 대해 우리 기업도 철저한 증거자료를 준비해야 한다"며 "WTO 제소에 적극적으로 대응해야 한다"고 밝혔다.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