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박영은 기자

ye0122@ekn.kr

박영은 기자기자 기사모음




"결혼해도 출산 NO"…고학력 여성 맞벌이 선호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17.01.13 23:17
"결혼해도 출산 NO"…고학력 여성 맞벌이 선호

[에너지경제신문 박영은 기자] 미혼남녀 6명 중 1명은 자녀를 낳을 생각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이 낮고 고소득자일수록 맞벌이를 선호하고, 특히 대학원 졸업의 고학력 여성 82.8%는 맞벌이를 선호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11일 최인철 서울대학교 심리학과 교수와 결혼정보회사 듀오가 전국 미혼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미혼남녀의 출산 인식’ 보고서에 따르면 ‘아이를 낳지 않겠다’는 답변이 17.8%나 됐다. 출산 거부 비율은 전년 조사 결과 14.4%에 비해 3.4%포인트 증가한 것이다.

전체 응답자의 62.6%는 자녀를 2명 이내 낳을 계획이라고 답했고, 세 자녀 이상을 희망하는 응답자는 연령(25~29세 14.2%, 30~34세 9%, 35~39세 8.2%)이 높을수록 낮다. 응답 결과를 토대로 평균을 냈더니 미혼남녀의 출산 시기는 결혼 후 ‘1년 9개월’이고 희망 자녀 수는 ‘1.9명’으로 조사됐다.

응답자의 과반수 이상인 72.4%는 맞벌이를 선호했으며, 연령이 낮고 고소득자일수록 이런 현상이 두드러졌다. 특히 대학원 졸업의 고학력 여성 82.8%는 맞벌이를 선호한다고 답했다. 이는 고졸 이하 학력 여성의 선호도 59.3%보다 23.5%포인트 적은 것이다.

결혼 후 부모와 함께 살기를 바라는 남녀는 10명 중 1명 꼴(13.1%)이었다. 또한 남녀 다수(68.3%)가 저출산 문제를 심각하게 여기고 있지만, 정부의 출산 정책에 회의적인 반응을 보였다. 남성 51.6%와 여성 44.4%가 현 정부의 저출산 정책에 ‘부정적’이라고 답했다. 저출산 원인으로는 ‘일과 가정 양립의 어려움’(27.5%)이 가장 많고, ‘육아로 인한 경제적 부담’(26.7%), ‘결혼의 지연과 기피 의식’(19.1%) 등이 거론됐다.

효과적인 출산 장려 정책에 대해서는 남성 29.3%가 ‘출산 지원’을 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외에도 ‘보육 지원’(29.3%), ‘주거 지원’(14.9%), ‘결혼 지원’(13.1%) 등의 답이 나왔다. 여성의 경우 ‘보육 지원’(33.7%) 비중이 가장 높고 ‘출산 지원’(26.7%), ‘주거 지원’(10.6%), ‘경력 단절 예방 지원’(10%) 등이 뒤를 이었다.

사회심리학자들은 대체로 "한국 출산율 하락은 미혼자의 결혼 기피와 출산 거부감 등이 큰 요인"이라며 "업무와 삶의 균형, 경력단절 문제 해결 등 다각적인 정책 지원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지적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