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천근영 기자

chun8848@ekn.kr

천근영 기자기자 기사모음




포스파워 삼척화력 허가취소 모면…해법 ‘첩첩산중’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17.01.18 14:54
포스파워조감도

▲포스파워는 기간이 종료된 삼척화력 건설사업 인허가 기간을 오는 6월까지 6개월 동안 연장받았지만,투자금 확보와 삼척시와의 협의가 난항을 겪고 있어 여전히 첩첩산중이다.


[에너지경제신문 천근영 기자] 포스코에너지의 발전 부문 자회사인 포스파워의 삼척화력 건설 사업이 겨우 허가 취소 고비를 넘겼다. 그러나 투자자와의 지분 매각 협상도. 삼척시와의 협의도 여전히 제자리걸음이다. 정부는 최근 작년 12월30일 기간이 만료된 삼척화력 건설 인허가 기간을 올해 6월 말까지 연장해줬다. 포스파워로선 삼척시와 시민을 설득할 시간을 번 셈이다.

하지만 발전 업계는 인허가 기한 연장이 두 번째라 사실상 사업 취소를 전제로 한 최후통첩으로 보고 있다. 포스파워는 이 기간 내에 연료 하역부두 해역 이용 협의에 관한 주민 협의와 공유수면 사용 허가 등을 완료해야 하는 부담을 안게 됐다.

◇ 지분매각협상, 겨우 재개 = 인허가 기간 연장이 포스파워 지분 매각 협상에는 긍정적인 요소다. 모기업이 추진 중인 유동성 확보, 발전소 건설비용 충당을 위해서는 재무적 투자자(FI)와 전략적 투자자(SI)의 사업 참여를 끌어내야 하는데, 허가기간 연장을 통해 정부가 발전소 건설에 대한 긍정적 신호를 준 것으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포스코에너지는 작년 KDB인프라자산운용과 두산중공업-포스코건설 컨소시엄과 포스파워 지분매매 양해각서(MOU)를 교환했으나 본 계약은 아직 이뤄지지 않았다. 발전 업계 한 관계자는 "인허가 연장 이후 참여사들이 실사를 재개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지만 지지부진한 상황"이라며 "삼척시와의 협의가 완료돼도 크게 탄력을 받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전망했다.

◇ 삼척시와 협의도 여전히 평행선 = 더 답답한 것은 삼척시와의 협의다. 16일 삼척시에서 연 해안침식 저감 대책 및 친수시설 조성 계획 설명회에서 양측의 주장은 평행선을 달렸다. 이 설명회에서 포스파워와 삼척시가 용인한 전문가들은 "국내외를 대상으로 그동안 연구 검토한 자료를 들어 삼척화력발전소 건설에 따른 맹방해수욕장 방파제 건설로 해안 침식은 상당할 것"이라며 "방파제를 건설하는 것만이 해안 침식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이라고 제언했다.

이에 대해 삼척시 측은 "맹방해변의 경우 보존지역으로 삼척시민 중에 상당수가 그대로 보존해야 한다는 여론이 많다"며 "포스코가 국내외 전문가가 참여하는 수리모형실험이나 수리실험 등에 대한 정확한 데이터를 제시해 줄 것"을 요구했다. 또한 김양호 삼척시장은 "맹방해변에 방파제를 건설할 경우 맹방해변과 석탄화력발전과 결국은 맞바꾸는 결과를 초래하는 것"이라며 "시민 동의를 구하기 위해서는 워터파크와 마리나시설 등에 대한 조성 사업이 선행돼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포스파워 고위 관계자는 이에 대해 "침식 방식 대책에 관련한 구조물들이 확정되지 않은 상황이고, 가급적 이 구조물들을 관광자원화할 수 있는 방안 등을 열어 놓고 내부적으로 논의할 계획"이라며 "포스파워가 발전사업자이기 때문에 발전시설을 우선하되 시에도 도움이 되는 쪽으로 방향을 잡는다는 생각"이라고 말했다. 포스파워는 별도 용역을 통해 구조물의 관광자원화 등 방안을 도출해 낼 계획이다.

또한 삼척시는 삼척화력 건설에 대한 시민의 여론을 확인하기 위해 금명간 여론조사를 실시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환경단체 반발도 포스파워에는 골칫거리다. 이 지역 환경단체는 성명을 통해 시한이 만료된 포스파워 공사계획 인가가 어떤 사유를 인정해 예외적으로 공사계획 인가기간을 연장했는지에 대해 면밀히 밝혀야 한다고 지적했다.

다른 부담은 오는 7월 말까지 확정 예정인 8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이다. 석탄화력이 미세먼지 주범으로 찍혀 이번 계획에서 대거 제외될 것이란 설이 나돌고 있기 때문이다. 꼭 집어 말하긴 어렵지만 이전에 계획돼 있는 석탄화력 중 일부가 빠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당연히 기간 내에 협의가 이뤄지지 않을 경우 삼척화력이 제외 대상이 될 가능성도 있다는 얘기다.

포스파워는 삼척시 적노동 일대 동양시멘트 폐광산 부지에 약 4조원을 들여 1050MW급 석탄화력 2기를 오는 2021년 말까지 건설할 예정이다. 우여곡절 끝에 허가 기간을 연장받긴 했지만, 삼척화력 건설 사업은 여전히 첩첩산중이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