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04월 19일(금)
에너지경제 포토

천근영 기자

chun8848@ekn.kr

천근영 기자기자 기사모음




미세먼지 비상저감조치 파장-화력발전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17.02.17 01:45
[에너지경제신문 천근영 기자] 온실가스는 물론 미세먼지의 주범으로 지목돼 지탄을 받고 있는 화력발전사의 미세먼지 저감사업이 활발하다. 정부가 작년 11조원을 투입해 2030년까지 미세먼지 등 석탄화력 발전소 오염물질을 현재보다 절반 이상 줄이기로 한 이후 단계별 저감계획 시행에 들어갔다.

16일 화력발전 업계에 따르면 국내 화력발전의 거의 100%를 보유하고 있는 발전 5사(한국동서·중부·남동·남부·서부발전)는 정부와의 ‘석탄발전 미세먼지 등 오염물질 저감을 위한 이행협약’ 이후 30년 이상 가동한 화력발전 폐지 등 구체적인 작업을 벌이고 있다. 정부는 석탄발전의 오염물질을 2030년까지 8만7000톤으로 줄여 2015년의 절반 수준까지 줄이기로 했다. 미세먼지는 34%, 황산화물은 26.7%, 질소산화물은 67.3% 감소가 세부 목표치다. 특히 석탄화력이 밀집한 충남의 경우 4만1000톤으로 줄여 2015년 보다 56.8% 감축키로 했다.

정부가 오염물질 저감에 드라이브를 건 것은 화력발전만이 주 원인은 아니겠지만, 우리나라 미세먼지 농도와 대기오염으로 인한 사망자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가운데 최악 수준이기 때문이다. 미국의 비영리 민간 환경보건단체 ‘보건영향연구소’(HEI)가 최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인구가중치를 반영한 한국의 연평균 미세먼지(PM2.5) 농도는 1990년 26㎍/㎥. OECD 평균치(17㎍/㎥)보다 훨씬 높았고 회원국 가운데 7번째로 나쁜 수준이었다. 이후 2015년까지 25년 동안 OECD 평균치는 15㎍/㎥로 낮아졌는데, 한국은 29㎍/㎥로 증가했다. 터키를 제외하면 OECD 회원국 중에서 가장 나쁜 수준이다. OECD 국가 중 오존농도 최악 순위도 4위다. 아시아 국가 중 한국의 오존 농도는 인도보다는 좋지만 일본이나 중국보다 못하다.

발전 5사가 현재 추진하고 있는 저감사업은 △운영 30년 미만 기존설비 43기에 단기 설비보강, 설비 전면교체, 30년 이상 노후 석탄화력 폐지, 건설 중인 20기 석탄화력에 저감 설비 추가 투자 등이다. 당장 올해 영동화력 1호기는 발전연료를 바이오매스로 전환한다. 이어 서천 1·2호기가 2018년 9월, 영동 2호기 2020년 9월, 삼천포 1·2호기 2020년 12월, 호남 1·2호기 2021년 1월, 보령 1·2호기 2025년 12월 순으로 연료를 전환하는 영동 2호기를 제외하고는 모두 폐지할 예정이다.

중부발전 한 관계자는 "석탄화력이 모두 법에서 규정한 온실가스 배출치보다 적게 발생하고 있지만, 국민들의 눈높이에는 맞지 않아 더 획기적인 처방을 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계획 대로 추진되면 온실가스와 미세먼지는 크게 줄 것"이라고 했다.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