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05월 08일(수)
에너지경제 포토

천근영 기자

chun8848@ekn.kr

천근영 기자기자 기사모음




전력소비 증가 답보…"주5일제, 인구구조 변화 탓"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17.02.26 10:25

전력소비 증가 답보…"주5일제, 인구구조 변화 탓"

[에너지경제신문 천근영 기자] 전력 소비가 정체 상태에 이르렀다는 관측이 흘러나온다. 최근 몇 년 간 전력 소비가 답보 상태를 보여서다. 인구 감소, 주5일제 근무 확산 등 구조적 요인이 소비 증가를 억누르는 요인으로 꼽히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런 현상을 두고 "정책 당국은 에너지 소비의 구조적 변화 요인을 고려해 8차 전력수급기본계획 및 에너지 관련 정책을 결정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고 제언했다.

26일 에너지경제연구원이 발간한 ‘2016 자주 찾는 에너지통계’ 보고서에 따르면 2015년 1인당 전력 소비 증가율은 0.09%로 1999년 이후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 1인당 전력 소비 증가율은 전체 전력 소비량을 인구 수로 나눈 것이다. 전력 수요(사용량) 예측에 사용된다.

1인당 전력 소비 증가율은 2000년 10.90%로 정점을 찍은 뒤 하향세로 돌아섰다. 2010년 이례적으로 9.55%로 수직 상승을 보였지만 2013년 1.32%, 2014년 0.18% 등으로 최근에는 거의 제자리걸음 하는 수준이다.

1인당 전력 소비량도 2014년 9472㎾h에서 2015년 9481㎾h로 9㎾h 늘어났을 뿐이다. 이는 전력 수요가 거의 포화 상태에 다다른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는 이유다.

보고서는 이에 따라 "2010년대 전력 수요 증가세 둔화는 일시적(단기적) 요인뿐 아니라 구조적 요인에 복합적으로 기인한 것"이라며 "앞으로 단기적 정체 요인들이 사라져도 전력 수요의 증가율이 과거의 연평균 6%대로 복귀하기는 힘들 가능성이 있다"고 진단했다.

특히 경제구조 변화나 전기요금, 근무일수 등은 증가세 둔화에 직접 영향을 미친 요인으로 지적됐다. 인구구조 변화는 2000년 이후 가정용 전력소비 증가율의 하락 현상을 설명하는 구조적 요인이라고 보고서는 분석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올해 수립할 예정인 제8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는 이런 변화를 반영해 발전설비의 신규 진입을 좀 더 엄격히 허용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작년 수립한 7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은 2015년부터 2029년까지 전력 소비가 연평균 2.1% 증가할 것으로 전망한 바 있다.

한편 이 기간 1인당 석유 소비는 급증했다. 2013년 -0.73%였던 1인당 석유 소비량 증가율은 2014년 -0.85%였다가 2015년 3.01%로 집계되며 증가세로 돌아섰다. 이는 배럴당 100달러가 넘던 고유가 기조가 꺾이면서 국제유가 가격이 급락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휘발유·경유·등유 등 석유제품 값이 싸지자 소비자가 늘어났다는 것이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