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04월 19일(금)
에너지경제 포토

한상희 기자

hsh@ekn.kr

한상희 기자기자 기사모음




빈곤층 소득 20만원 늘 때 고소득층은 179만원 늘었다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17.04.10 17:02

Increase your savings

▲(사진=이미지 투데이)

[에너지경제신문 한상희 기자] 지난 13년 동안 저소득층과 고소득층 간 구매력 격차가 점차 확대돼 온 것으로 나타났다. 물가는 꾸준히 오르는데 상대적으로 소득이 증가하지 않은 저소득층의 생활고가 심해졌다. 특히 경기하강 국면에서 이런 격차는 더 크게 나타났다.

천소라·김성태 한국개발연구원(KDI) 연구위원은 10일 ‘소득분위별 실질구매력 변화와 시사점’이라는 제목의 보고서에서 2003년부터 2016년까지 가계동향 조사를 바탕으로 소득분위별 실질구매력(명목소득/소비자물가)을 분석했다.

이 기간 소득 하위 20%인 1분위의 월평균 실질소득은 연평균 1.20% 증가했지만 소득 상위 20%인 5분위는 1.90% 늘어났다.

즉 1분위의 월평균 실질소득은 2003년 123만원에서 2016년 143만원으로 20만원 증가하는데 그친 반면 5분위는 646만원에서 825만원으로 179만원이나 늘었다.

이로 인해 1분위와 5분위의 실질구매력 차이는 매년 0.7%포인트씩 격차가 확대돼 13년 간 전체로 보면 10% 이상 확대됐다.

실질구매력의 빈부 격차가 점점 더 벌어지는 것은 1분위에서 은퇴한 60대 이상 가구가 차지하는 비중이 급격하게 늘어나면서 1분위 근로소득이 정체되고 있기 때문이다.

금융위기 이후에는 1분위 이전소득(생산활동을 하지 않아도 정부가 무상으로 보조하는 소득)이 비교적 빠르게 증가해 소득분위별 실질구매력 격차가 더 확대되지는 않았다고 KDI는 설명했다.

실질구매력 격차는 소비자물가보다는 명목소득의 차이에서 비롯됐다.

분석대상 기간 1분위의 명목소득은 연평균 3.5% 증가하는 데 그쳤지만 5분위는 4.2%의 증가율을 보였다. 총소득에서 세금·연금·보험료 등 비소비지출을 제외한 처분가능소득으로 비교해도 결과는 비슷하게 도출됐다.

반면 분석대상 기간 가구별 소비지출 비중을 가중치로 설정해 계산한 소득분위별 물가상승률은 1분위 2.26%, 5분위 2.22%로 거의 유사한 모습을 보였다.

다만 경기 하강기에 소득 1분위의 물가상승률이 5분위보다 소폭 높았으며 경기에 따른 변동 폭도 크게 나타나 경기 불황이 저소득층의 소비를 더욱 위축시켰을 가능성이 있다고 KDI는 분석했다.

보고서는 "고령층 가구의 비중이 큰 저소득층의 실질소득은 2003년과 비교해 거의 정체돼 있으며 이는 체감경기를 악화시키고 소비심리를 위축시키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며 "고령층 비중이 높은 저소득층을 중심으로 소득 여건을 개선해 소득분위별 구매력 편차를 완화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