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시장 조사 업체 DMC 미디어는 지난달 국내 이용자 1000명을 대상으로 설문한 결과 ‘모바일 동영상을 볼 때 주로 쓰는 서비스’로 유튜브를 꼽은 응답자가 전체의 42.8%에 달해 가장 높았다고 22일 밝혔다.
이어 네이버 TV(15.4%), 페이스북(9.1%), 옥수수(8.0%), 카카오TV(4.6%), 티빙(3.7%), 다음(3.4%) 등이 그 뒤를 이었다.
유튜브 이용자의 특징은 서비스 만족도가 높다는 점이다. 유튜브로 모바일 동영상을 계속 보겠다는 답변이 78.1%에 달해 모든 서비스 중에서 수치가 가장 높았다.
네이버 TV를 계속 쓰겠다는 답변은 68.6%로 유튜브에 이어 2위에 랭크됐다.
특정 모바일 동영상 서비스를 택하는 이유로는 ‘무료 콘텐츠가 많아서’가 39.1%로 가장 많았다. 그 외 ‘콘텐츠 종류가 다양해서(28.5%)’, ‘좋아하는 프로그램이나 장르가 있어서(23.9%)’, ‘콘텐츠 검색이 편해서(23.0%)’ 등의 순으로 집계됐다.
모바일 동영상으로 가장 많이 보는 장르는 예능(46.6%)이며 영화(27.9%), 드라마(26.4%), 시사·보도·교양·다큐(25.0%)도 인기가 높았다.
유튜브는 올해 PC 동영상 영역에서도 45.5%의 시장점유율을 보이며 1위에 랭크됐다.
네이버 TV 캐스트(18.8%)가 2위에 올랐고, 곰TV(5.9%)·페이스북(4.9%)·푹(4.3%) 등이 있었다. 곰TV는 PC에 깔아 쓰는 비디오 재생 소프트웨어(SW) ‘곰플레이어’에 연계된 서비스다.
모바일·PC 사용자들은 모두 다운로드보다는 스트리밍으로 동영상을 훨씬 많이 봤다. 스트리밍으로 콘텐츠를 즐긴다는 답변은 모바일 81.0%, PC 65.9%에 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