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04월 20일(토)
에너지경제 포토

최홍 기자

g2430@ekn.kr

최홍 기자기자 기사모음




[28주년 창간기획] 4차산업, 왜 인공지능인가…경제구조 新패러다임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17.05.25 14:56

▲(자료=산업연구원)


[에너지경제신문 최홍 기자] 인공지능(AI)은 단순한 기술력을 넘어 경제구조와 생활양식을 뒤바꿀 수 있는 새로운 패러다임이다. AI는 기업의 생산성과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이는 산업 및 경제구조까지 바꾼다. 비단 AI의 수혜는 기업의 제조과정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다. 인공지능이 도입된 가전제품과 전자기기들은 우리 생활 양식을 점차 변화시킨다.

AI는 생체신경망기술, 반도체기술 등을 이용해 인간의 두뇌능력을 구현하는 초고성능 컴퓨터 시스템이다. 인간처럼 심층학습(딥러닝)이 가능하면서, 인간이 처리할 수 없는 방대한 데이터를 보다 빠르고 정확하게 처리할 수 있다.

특히 AI는 시장경제 구조를 다른 양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황종성 한국정보화진흥연구위원의 ‘지능시대와 제4차 산업혁명’에 따르면 기존 경제 구조는 생산을 먼저하고 나중에 수요를 맞추는 방식으로 잉여와 부족의 악순환을 반복해왔다.

반면 AI 중심의 경제는 수요를 정확히 예측하고 그에 맞춰 생산을 하기 때문에 시장과 가격 메커니즘이 작동할 여지가 줄어든다.

황 연구원은 "현대 자본주의 근간을 이루는 시장메커니즘의 역할이 약화될 것"이라며 "공공정책도 본질적으로 변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AI 기술만 발전해서는 경제구조를 바꿀 수 없다는 게 업계의 중론이다. 오히려 기술을 뒷받침하는 제도가 더 절실하고 중요하다고 지적한다. 선진국들이 국가 정책으로까지 반영하면서 치열한 AI 개발 경쟁을 벌이는 이유도 이 때문이다.

산업연구원의 ‘각국의 인공지능(AI) 선점을 위한 개발경쟁 실태’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을 비롯한 중국, 미국, 일본은 AI 개발 경쟁으로 각축전을 벌이고 있다. AI 기술이 미래 국력을 좌우하는 패러다임으로 인식하고 있다.



중국 정부는 인재와 자본으로 AI 개발에 물신양면 지원하고 있다. 중국 당국은 ‘인터넷 플러스 AI 3년 행동실시방안’을 수립하는 등 AI 종합정책을 대대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중국은 AI에 특화된 인재도 다수 확보하고 있다. 중국은 지난해 6월 발표된 슈퍼컴퓨터의 연산성능랭킹 ‘TOP500’에서 세계 1위를 차지했다. 국제 대학생 프로그래밍 콘테스트(ICPC)에서 중국대학생들이 미국을 능가하는 상위 랭크를 기록하는 등 AI관련 인재풀이 인정받고 있다.

2015년 일본도 AI에 대한 정부 정책을 본격 진행했다. 산업연구원의 ‘일본의 4차산업혁명 대응 실태와 정책방향’ 보고서에 따르면 일본 총무성의 정보통신심의회는 AI가 일본의 사회경제에 미치는 영향과 향후 과제에 대한 보고서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일본은 AI 네트워크화의 효과를 2045년 기준 121조로 추산했다. 또 지난해 4월 일본 정부는 ‘미래 투자를 위한 관민대화’에서 인공지능의 연구개발 목표와 산업화의 로드맵을 책정하고 인공지능기술전략회의를 창설하겠다고 공언했다.

미국 정부도 AI개발을 위해 대규모 정책을 추진 중이다. 산업연구원의 ‘2017 거시경제전망’에 따르면 미국은 2013년 4월 백악관 중심의 범정부 차원에서 ‘브레인이니셔티브(BRAIN Initiative)’ 정책을 수립하고 인간 두뇌 중심의 AI 연구개발을 진행해왔다. 이어 백악관 과학기술정책국은 향후 10년 동안 산학연 협력을 통해 30억 달러 규모로 인공지능 기술개발을 추진할 계획이다.

한국은 지난해 9월 미래부에 ‘지능정보사회추진단’이 조직돼 AI개발을 비롯한 4차산업혁명 대응에 나서고 있다. 또 정부는 지난해 8월 제2차 과학기술전략회의에서 AI, 자율주행차, 경량소재, 미세먼지 등 9대 국가전략 프로젝트 추진계획을 발표했다.

주대영 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AI 산업은 기술과 산업분야 외에도 우리 삶과 사회를 변화시키기 때문에 근본적인 대응전략이 필요하다"며 "선진국처럼 범정부 마스터플랜 수립을 통해 대규모 프로젝트를 진행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