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04월 27일(토)
에너지경제 포토

천근영 기자

chun8848@ekn.kr

천근영 기자기자 기사모음




[고리원전 1호기 영구정지 이후] '원전해체센터' 급물살 타나?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17.06.21 07:53

-文대통령의 해체산업 육성 발언 이후 원자력계 중심으로 다시 거론
-해체센터 명칭 아니더라도 8차 전력계획 즈음서 방안 발표 전망

▲영구정지된 고리원전 1호기. (사진=연합)



문재인 대통령이 19일 고리 1호기 영구정지 행사에서 원전해체산업 육성 계획을 밝힌 이후 ‘원전해체기술종합연구센터(이하 원전해체센터)’ 재추진 여부가 원자력계의 이슈로 급부상하고 있다.

21일 원자력계에 따르면 미래부는 예비타당성조사 평가에서 경제성과 사업성이 없다고 판단, 사실상 폐기한 후 원자력연구원 원전해체기술연구부 내에 해체기술종합시험시설을 구축해 이곳에서 해체기술을 연구하도록 방향을 전환한 상태다. 이 사업에 배정된 예산은 올해 4억6000만원 등 총 160억원 정도다. 이 정도는 겨우 연구사업만 할 수 있는 규모다.

원전 해체는 짧게 잡아 15년 정도가 소요되는 장기작업이고, 1기당 약 7000억원 정도의 비용이 든다. 이 작업을 사업화하려면 국내는 물론 해외시장까지 염두에 두어야 한다. 국내 시장은 현재 가동되고 있는 원전을 다 합해봐야 20여 기가 전부이고, 게다가 고리 1호기와 월성 1호기를 제외하면 모두 10년 이후에야 작업이 가능한 설비들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해외 시장은 다르다. 당장 시장에 나와있는 설비가 160여 기다. 이 시장은 상업용 원전 해체경험이 있는 미국과 영국 일본이 주도권을 쥐고 있는 상황이다. 이 시장을 목표로 한다면 당연히 원자력연구원 내에 설치할 연구실 수준의 시설로는 역부족이라는 게 원자력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송종순 조선대 원자력공학과 교수는 "원전해체를 산업화하기 위해서는 산학연관을 한데 모으고, 이를 컨트롤 하는 컨트롤타워가 절대적"이라며 "그게 원전해체센터가 되든 뭐가 되든 사업화를 위해서는 해체산업 체계부터 정립해야 할 것"이라고 했다.


▲고리1호기 원전 해체 로드맵. (자료=에너지경제신문DB)



그러나 현재 이에 대한 정부 방침은 ‘오리무중’이다. 문 대통령 발언 이후 사실상 백지화된 원전해체센터 리모델링 필요성이 원자력계를 중심으로 제기되고 있을 뿐이다. 박근혜 정부는 폐기할 원전 해체 작업을 주도하고 산업화로의 이행을 위해 2019년까지 원전해체센터를 설립키로 한 바 있다. 당시 정부는 이 센터에서 개발된 기술을 실제 원전 현장에 적용한 후 여기서 쌓은 경험을 바탕으로 해외 시장에 진출키로 했다.

미래부 관계자는 "센터 건립에 약 1500여억원의 예산을 책정할 계획이었으나 산업부 한수원 등과 논의 과정에서 유야무야됐다"며 "원전해체산업을 육성하려면, 어떤 형태로든 컨트롤 타워는 필요하고 산학연관의 장점을 한데 모으지 않으면 안 될 것"이라고 했다.

원전해체센터 설립을 위한 입지환경은 좋다. 대표적인 ‘핌피(PIMFYㆍPlease In My Front Yard) 시설로, 계획 발표 당시 전국 10여개 지자체가 유치경쟁을 벌였을 정도다. 또한 현재도 부산과 울산시 등은 "고리 1호기 등 원전폐로기술 확보를 위해 원전해체센터 설립은 필수적"이라며 "이 센터 설립을 재추진해야 한다"며 정부를 압박하고 있다.

정부 관계자는 "아직까지 로드맵을 내놓지는 않았지만, 대통령의 발언이 있었다면 뭔가 준비하고 있다고 봐야 할 것"이라며 "정부가 8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을 통해 탈원전 등 전력정책을 내놓지 않을 수 없어 이 시기에 원전해체사업 관련 계획도 나올 가능성이 크다"고 내다봤다. 



[에너지경제신문 천근영 기자]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