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규모 커진 ‘제2회 부동산산업의 날’…국가대표 디벨로퍼 한자리
- 부동산산업 편견 깨고 "고부가가치 산업 거듭나야"
▲10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는 ‘제2회 부동산산업의 날 기념행사’가 진행됐다.(사진=한국부동산개발협회) |
▲이날은 2000여 명의 인파가 몰리는 등 작년 첫 행사와 비교했을 때 보다 행사 규모가 확연히 커졌다.(사진=신보훈 기자) |
[에너지경제신문 신보훈 기자] "한국부동산경제단체연합회는 대한민국 부동산산업을 총괄하게 됐다. 대회 규모도 (작년보다) 아주 커졌다."
지난 10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진행된 ‘제2회 부동산산업의 날 기념행사’에 참가한 조정식 국회 국토교통위원장(더불어민주당, 경기 시흥을)은 기념행사를 기획한 협회에 놀라움을 드러냈다.
작년과는 확실히 달랐다. 부동산산업 관련 8개 단체로 구성된 한국부동산경제단체연합회와 국내 대표 디벨로퍼, 그리고 다수의 정부 기관이 한자리에 모였고, 부동산산업의 구조와 혁신, 고도화를 논의하는 스케줄은 짜임새가 있었다. 지난해 진행됐던 1회 행사와는 확연히 다른 모습을 보이며, 체계화돼 가는 한국부동산경제단체연합회 그 세를 과시했다.
◇ 녹록지 않은 시장…'양극화' 우려도
사실 내년 부동산시장은 낙관적이지 않다. 연말부터 향후 1~2년은 입주물량이 폭발적으로 증가해 조정기가 예상돼 왔다. 이런 상황에서 정부는 부동산 규제책을 쏟아내고, 대출을 옥죄면서 시장을 냉각시키는 정책을 사용하고 있다. 기업 입장에서는 투자에 소극적인 모습을 보일 수밖에 없다. 잔칫날에도 내년 사업에 대한 걱정은 지울 수 없었다.
부동산개발협회 수석 부회장을 맡고있는 피데스개발 김승배 대표는 "(분양가)상한제와 후분양제 이야기가 나오고 있다. 입주 물량이 증가하고, 대출이 힘들어져 내년이 더 쉽지 않아 보인다"며 "(부동산 시장의) 사이클이 있기 때문에 사업 추진에 조금 더 신중해지고 있다"고 밝혔다.
기념식에 참가했던 한 신탁사 관계자도 "내년 시장은 모두가 예상하는 것처럼 쉽지는 않을 것 같다"며 "정부에서 규제하려는 것은 그 지역이 과열되고 있기 때문인데, 그 외 지역은 분위기가 다르다. 시장의 양극화가 발생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 "부동산산업 체계적 육성" 한목소리
정부 정책에 따라 일희일비할 수밖에 없는 부동산시장의 취약성 때문이었을까?
이날 가장 강조된 구호는 규체 철폐가 아닌 "부동산산업의 체계적 육성"이었다. 부동산산업은 GDP의 8%를 차지하고, 약 41만명이 관련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부동산을 단순히 ‘투기’로 간주할 것이 아니라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육성해야 한다고 호소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한국부동산경제단체연합회를 이끌고 있는 문주현 회장. 엠디엠 그룹의 수장이기도 한 문 회장은 "부동산산업을 체계적으로 육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사진=한국부동산개발협회) |
"대형 건설사만 해도 부동산 업체와 보는 시각이 다르다." 기념행사장 한편에 마련된 홍보부스에서 만난 한 관계자의 말이다. 부동산산업의 체계적 육성 및 발전을 위한 ‘부동산 서비스산업 발전법’은 여전히 국회 법사위원회에서 통과하지 못하고 있다. 시장은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발전을 준비 중이지만, 국회는 아직 ‘투기’의 편견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시공 중심의 건설산업에서 부동산산업 중심으로의 전환이 요원한 이유다.
엠디엠 회장이자 한국부동산경제단체연합회를 이끄는 문주현 회장은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도시라는 공간은 스마트 시티로 발전하고, 스마트홈, 스마트빌딩, 친환경미래에너지 등 신산업 육성에 부동산산업이 기반이 될 수 있다"며 "굴뚝 산업 경제성장에는 한계가 있다. 부가가치가 높은 부동산산업이 체계적으로 육성되는 토대가 마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