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복현명 기자

hmbok@ekn.kr

복현명 기자기자 기사모음




[본·들수첩] 금융권도 성범죄의 안전지대가 아니다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17.11.13 08:01

금융증권부 복현명 기자

증명사진

최근 직장내에서 성희롱과 성추행 등 각종 성범죄가 불거지면서 금융권도 조직문화가 경직되고 보수적이라는 것을 널리 알리게 됐다. 지난 7월에는 DGB대구은행이 은행에서 간부급 직원이 부하 여직원을 성추행해 박인규 은행장이 사과문을 발표하고 후속대책 마련 등 사태 수습에 나섰으며 현대카드 역시 최근 비정규직 사원이 성폭행 피해를 고발해 브랜드 이미지와 기업 신뢰도에 큰 타격을 입고 있다.

이렇게 성범죄가 급증하자 한 대형 보험사에서는 디지털 성범죄 피해를 우려하는 개인을 대상으로 보험 상품을 개발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몰래카메라나 동영상 유출 등 피해를 입을 것에 대비해 보험에 가입하면 추후 발생하는 정신적 피해를 금전적으로 보상하거나 유포된 기록을 삭제하는데 드는 비용을 지급하는 구조다.

이런 상품이 개발된다는 것은 결국 예방 마저도 피해자 스스로가 비용을 부담할 수밖에 없다는 시대상황적인 착오가 현실화된 것 같은 우려마저 든다. 성범죄는 단순히 가해자와 피해자 두 사람만의 문제가 아님에도 말이다.

직장내 성범죄의 경우 대부분은 상사가 자신의 지위(우월적 지위)를 이용해 저지른다. 경찰청의 집계를 보면 우월적 지위를 이용한 성범죄 건수가 ▲2014년 449건 ▲2015년 523건 ▲지난해 545건 등으로 매년 늘어나고 있다. 올해에도 지난 8월까지 370건을 넘어선 상황이다.

피해자의 경우 노동권을 상실하고 생존권까지 침해 당하게 된다.

하지만 대부분의 가해자는 이른바 솜방망이 처벌만을 받고 직장에서 살아남는 반면 피해자는 대부분은 퇴사를 하게 된다.

금융권은 보수적인 직장 문화와 ‘유리천장(여성의 진급 제한)’ 등으로 인해 남성 중심의 문화가 잔재해 있다. 이에 금융권내 성범죄가 공론화가 되지 않고 윗선에서 ‘쉬쉬’하고 있는 경우도 있지만 피해자는 이른바 ‘미투(Me too)’로 계속 등장하고 있다. 앞서 언급한 성범죄 사건들은 이제야 밝혀진 것뿐이지 실상은 오래전 얘기다.

금융사들은 각종 성범죄를 방지하기 위해 자체적인 관리를 하고 있다고 한다. 하지만 성범죄가 계속 재발하고 있는 것은 아직도 성범죄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다는 반증하는 결과다.

금융권에서 성범죄가 생기지 않게 하려면 가해자에 대한 엄격한 징계와 실태조사, 예방교육이 제대로 운영돼야 한다.

또 직장 내 성범죄 대부분이 일어나는 음주와 회식자리에서의 구태문화도 개선될 필요가 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