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09월 13일(금)
에너지경제 포토

한상희 기자

hsh@ekn.kr

한상희 기자기자 기사모음




'전기료↑+전력 불안정'…호주 신재생 중심 포기·석탄화력 유지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18.07.10 13:51

▲송전탑. (사진=AFP/연합)


[에너지경제신문 한상희 기자] 호주가 풍력, 태양광 등 재생에너지 강화 정책을 포기하고 기존의 석탄 등 전통적 발전 방식을 사용하는 에너지 정책으로 선회했다. 이는 재생에너지 정책에 따라 발생하는 전기료 인상과 전력공급의 불안정성을 감당하지 못한데 따른 것이다.

호주 말콤 턴불 총리는 호주에서 에너지믹스 중 석탄이 중요한 역할을 지속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턴불 총리는 지난 달 말 개최된 ‘국가에너지보장(National Energy Guarantee, NEG)’ 관련 의회 토론회에서, "석탄은 호주의 에너지믹스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해왔으며, 앞으로도 오랫동안 어쩌면 영원히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확신한다"고 언급했다. 영국의 다국적 에너지기업 BP에 따르면, 2017년 호주의 1차에너지 소비 중 석탄의 비중은 30.3%에 달한 것으로 집계됐다.

그러나 턴불 총리는 "재생에너지보다 석탄을 더 선호하는 것은 아니다"라고 언급하면서, "다만 에너지수급 측면을 고려할 때 전력공급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석탄의 역할이 계속 필요하며 동시에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에도 노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조쉬 프라이덴버그 에너지부 장관도 석탄화력발전소 신·증설의 가능성을 시사했다. 프라이덴버그 장관은 "석탄화력은 안정적인 기저 전원으로서 과거와 마찬가지로 미래에도 우리에게 도움이 될 것이기 때문에 신규 석탄화력발전소 증설도 고려할 수 있다"며 "반석탄 (anti-coal) 정책은 ‘국가에너지보장’ 정책에 포함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또, 현재 호주의 석탄화력발전소는 총 20개로 평균 수명은 27년이라며, 이들 석탄화력발전소는 27년 이상 가동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히고, ‘국가에너지보장’ 정책을 통해 기존 석탄화력 발전설비의 수명을 연장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호주 국가전력시장(National Electricity Market, NEM) 내의 석탄화력 발전설비는 2007년 퀸즐랜드 주 코간 그릭 석탄화력(744MW)이 마지막으로 신규 건설됐다. 이후 지난 10년간 신규 석탄화력 발전설비가 건설된 바 없고, 현재 검토 중인 프로젝트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호주는 지난 해 10월 재생에너지 보급 확대를 목표로 하는 ‘클린 에너지 타깃(Clean Energy Target)’을 폐기하고, 전력수급 안정성 제고 및 자국의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국가 계획의 일환으로 ‘국가에너지보장’ 제도를 마련하고 있다.

호주 정부는 재생에너지로의 전환과정에서 정전사태 발생 등 전력수급 불안정 문제가 제기된 이후 △전력공급 신뢰성 보장(reliability guarantee), △탄소배출억제 보장(emission guarantee)을 주요 골자로 하는 ‘국가에너지보장’을 제안했다.

2016년 이후 호주전력시장은 석탄화력 폐지 및 가스화력 발전단가 상승 등 복합적 요인으로 전력수급 상황이 악화됐다. 2016년 9월 남호주 주, 2018년 1월 빅토리아 주에서 대규모 정전사태가 발생한 바 있으며, 각 주의 평균 전력도매가격도 크게 상승했다.

이에 당국은 전력공급의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해, 석탄화력, 가스화력, 수력(pumped hydro) 등을 포함한 급전가능한 전원, 에너지저장장치 등을 활용해 일정 기준 이상의 전력을 상시 확보하도록 노력하고 있따.

또, 석탄을 포함한 급전가능 전원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탄소배출이 증가하지 않도록, 전력회사의 급전가능 전원 확보를 재생에너지 위주로 유도하고, 호주의 자발적 감축목표(2030년까지 2005년 배출량 대비 26~28% 감축) 달성에 기여하도록 한다는 방침이다.

한편, ‘국가에너지보장(안)’은 모든 주 정부의 승인을 받아야 하며, 전력공급 신뢰성 보장과 관련한 정책 프로그램은 2019년, 탄소배출억제 보장과 관련한 정책 프로그램은 2020년부터 시행될 예정이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