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04월 18일(목)
에너지경제 포토

전지성 기자

jjs@ekn.kr

전지성 기자기자 기사모음




[POST원전, 해체에 답있다①] "원전해체 500조원 시장 잡아라!"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19.01.09 16:29
원자력 산업계가 ‘원전 해체’에서 돌파구를 찾고 있다.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에너지 전환’, 그 중에서도 탈(脫)원전 정책으로 원자력 산업생태계가 붕괴될 것이란 우려가 현실화 되고 있다. 2017년 공론화를 통해 건설 재개가 결정된 신고리 5·6호기 이후 국내에서 신규 원전 건설 계획은 없다. 정부가 영국, 체코, 헝가리, 우크라이나, 사우디 등 국가들을 방문해 원전 수출 가능성을 타진하고 있는데 녹록치 않은 게 사실이다. 세계적 신재생에너지 확산 흐름으로 신규 원전 건설에 대한 수요가 예전만 못한 것은 물론, 자국에서는 탈원전을 추진하고 있는 부분도 약점이다. ‘원전 해체’는 앞으로 시장 규모만 500조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세계적으로 원자력 발전이 도입된 지 60년이 넘어가면서 설계 수명이 다해 해체작업이 필요한 원전이 계속 늘어나고 있다. 원전해체 시장에서 우리나라 경쟁력은 있는지, 무엇이 필요한지 등을 짚어본다. [편집자 주]

▲원전해체 현장


[에너지경제신문 전지성 기자] 원전 해체 시장 규모는 건설하는 것 만큼 거대하다. 2014년 글로벌 컨설팅 회사 딜로이트는 ‘세계 원전 해체 전망’을 통해 2050년까지 원전 해체 시장이 440조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전세계 식량·농업 시장이 약 5000조 원, IT 시장이 약 4000조 원 규모임을 고려할 때 부가가치가 큰 시장이다. 우리나라의 1년 원유수입액이 150 조원이다. 전체 국가수입의 3분의1 규모다. 삼성전자의 세계 반도체 시장 점유율은 30%이며 연간 수출액은 15~20조 정도다. 그 정도로 원전해체 시장은 큰 기회가 있는 시장이다.


◇ 원전 해체 시장, 경제성 충분

당시 딜로이트는 2015년부터 2029년까지는 초기 시장 형성 단계로 원전 해체에 소요되는 예상 금액을 72조원으로 추산했다. 2030년부터 2049년은 시장이 본격적으로 팽창해 185조원이 투입될 것으로 예상했다. 2050년 이후에는 시장이 성숙기에 접어들어 182조원 규모의 돈이 오갈 것으로 관측했다. 이를 모두 합해 원전 해체 시장 규모는 약 440조에 이를 것이라고 봤다. 이 수치가 4년 전의 자료임을 고려하면 현재와 앞으로의 시장 규모는 이보다 훨씬 더 커질 것이라는 게 업계의 중론이다. 이미 원전 해체 수요는 풍부한 상황이다.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이 제공하는 원전 안전 운영 정보 시스템(OPIS)에 따르면 2018년 11월 기준 전 세계 38개국에서 운영, 건설 중인 원전은 508기다. 그 중 폐로절차에 들어가 가동이 중지된 원전 수는 총 169기다. 이 중 해체를 완료한 곳은 아직 약 20기에 불과하다. 당장 140여 기가 해체를 앞두고 있다.

앞으로 그 숫자는 더욱 증가할 전망이다. 508기 중 가동 연수가 30년 이상인 원전은 약 280기로 전체의 절반이 넘는다. 일반적으로 원전의 수명이 40년임을 고려하면 2020년대 들어 해체에 들어가는 원전이 빠르게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한 원전업계 관계자는 "한국의 7대 수출 산업인 해운·조선·철강·화학·건설·자동차·반도체 중 대부분이 주춤하며 국가경제가 위기를 맞이한 가운데 500조원을 훌쩍 넘어설 것으로 예상되는 새로운 시장인 원전 해체 산업을 선도할 수 있도록 정부와 업계가 힘을 모아야 할 시기"라고 강조했다.


◇ 산업부, 내년 3월까지 원전해체산업 육성전략 마련

한국수력원자력은 2017년 6월 영구가동정지한 고리1호기의 안전한 해체를 위해 해체경험을 보유하고 있는 해외 전문기관의 기술 자문 등을 통해 해체계획서를 마련 중이다. 한수원은 내년 상반기까지 초안을 작성하고, 주민 의견수렴을 거쳐 내후년 6월까지 원안위로 최종안을 제출할 계획이다. 원안위 인허가 승인 이후 2022년 하반기부터 해체에 본격 착수할 전망이다. 해체계획서에는 △해체사업 관리계획 △방폐물 관리 계획 △환경영향평가 결과가 담길 것으로 보인다. 한수원은 또 원전해체에 필수적인 상용화기술 확보를 위해 산학연과 지속적으로 협력해 나갈 계획이다. 2021년까지 원전해체 필수 상용화기술 국내자립을 추진한다. 현재 한수원은 필수 기술 58개 가운데 45개를 확보하고 있다.

주영준 산업부 에너지자원실장은 "국내 최초 상용원전인 고리1호기의 안전한 해체 추진과 함께, 이를 계기로 국내 산업계가 해체경험 축적을 통한 경쟁력 확보가 시급하다"며 "앞으로 국내외 원전해체 시장 본격 확대에 대비해 우리 원전산업의 새로운 먹거리로서 원전해체 분야의 선제적 육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주 실장은 "이를 위해 정부는 내년 3월까지 원전해체연구소 설립방안을 포함한 원전해체산업 육성 종합전략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