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광화문 네거리에서 출근길에 오른 시민들이 마스크를 쓰고서 횡단보도를 건너고 있다.(사진=연합) |
우리나라가 지난해 1인당 국민소득 3만 달러 시대를 맞이한 가운데 가계부채는 여전히 주요국 대비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계부채 증가속도는 중국에 이어 세계 2위였고 한국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34개 선진국, 신흥국 가운데 가장 높았다.
21일(현지시간) 옥스퍼드 이코노믹스 분석에 따르면 최근 한국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100%에 근접해 분석대상 28개국 가운데 3번째로 높았다.
한국보다 이 비율이 높은 국가는 120%를 넘는 호주와 100%가량으로 한국과 비슷한 캐나다뿐이다.
특히 한국은 최근 부채비율의 상승세가 다른 나라보다 가팔랐다.
지난 5년간 한국의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15%포인트가량 상승해 중국(18%)에 이어 2번째로 가파르게 올랐다.
옥스퍼드 이코노믹스는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65∼85%를 넘고 이 비율이 5년간 7%포인트 이상 상승한 것을 기준으로 분석했을 때 가장 큰 위험을 안고 있는 나라로 한국과 호주, 캐나다를 꼽았다.
이 연구소의 애덤 슬레이터 선임 이코노미스트는 "가장 위험한 조합이 높은 부채비율과 급격한 부채비율 상승"이라며 "많은 연구 결과가 이를 '문턱'(threshold)으로 지목해 왔으며 이를 넘어서면 급격한 GDP 성장 둔화 또는 금융위기의 리스크가 상당히 증가한다"고 말했다.
또 다른 부채 리스크 척도에서도 한국은 위험군으로 꼽혔다.
한국은 민간 부문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20% 이상이고 민간 부채 가운데 변동금리의 비중도 60%를 훌쩍 넘어 홍콩, 호주, 스웨덴 등과 함께 취약한 나라로 분류됐다.
총부채상환비율(DTI)이 3배를 넘는 채무 가구의 비중도 네덜란드, 호주보다는 낮았지만 20%로 비교적 높다고 옥스퍼드 이코노믹스는 지적했다.
|
▲(사진=연합) |
다른 조사기관에서도 한국의 가계부채를 계속해서 지적했다.
국제금융협회(IIF)는 지난 15일 '글로벌 부채 모니터' 보고서에서 한국과 체코, 인도, 멕시코, 말레이시아, 칠레의 2016년 이후 가계부채 증가율이 20%는 넘는다고 강조했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3분기 말 기준 신흥국 가계부채는 12조1000억 달러(약 1경3689조원)로 2016년 이후 30% 가까이 증가했다. 역내 GDP 대비 37.5% 수준이다.
한국의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96.9%로 그보다 훨씬 높다. 신흥국은 물론이고 글로벌 평균 59.6%보다도 훨씬 높고, IIF가 국가별 수치를 제시한 34개 선진·신흥국 가운데서도 가장 높다. 전 세계에서 가계부채 비율이 0.3%포인트 상승하는 동안 한국은 2.7%포인트나 뛰었다.
가계부채 뿐만 아니라 기업부채도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한국 비금융 기업 부채는 지난해 3분기 기준 GDP 대비 157.1%로, 1년 만에 1.5%포인트 상승했다. 7.5%포인트 급등한 중국보다는 낮은 상승률이지만, 다른 주요국들과 비교했을 때 상승 폭이 작지 않다.
[에너지경제신문 송재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