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여영래 기자

yryeo@ekn.kr

여영래 기자기자 기사모음




대성히트펌프, ‘제15회 한국국제냉난방 공조전’ 참가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19.03.12 12:56

12∼15일 4일간 일산 킨텍스 전시장…공기열·지열 히트펌프 등 다양한 제품 선보여

▲대성히트펌프는 12∼15일까지 4일간 일산 킨텍스(KINTEX)에서 열리는 ‘제15회 한국국제냉난방 공조전(HARFKO 2019)’에 참가해 공기열, 지열 히트펌프, 보일러 캐스케이드 시스템 등 다양한 제품을 선보인다.


[에너지경제신문 여영래 기자] 대성히트펌프(주)는 12일부터 15일까지 4일간 고양시 일산 킨텍스(KINTEX)에서 열리는 ‘제15회 한국국제냉난방 공조전(HARFKO 2019)’에 참가해 공기열, 지열 히트펌프, 복합열원과 보일러 캐스케이드 시스템 등 다양한 제품을 선보인다.

전시품중 대표적인 제품은 공기열 히트펌프 ‘Chiller 시스템’이다. 이 제품은 심야전기를 이용해 냉난방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도록 최적화돼 급탕은 섭씨 80도, 냉방은 -5도 이상 빙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편의성을 고려한 자동 냉난방 절환도 가능하다.

지열 부문에서도 친환경 냉매(R410a)를 사용, 냉매 기화를 최적화한 신제품 ‘지열히트펌프’도 전시한다. 이코노마이저 기술을 적용해 제품의 안정성을 확보, 출수 온도를 섭씨 65도까지 올릴 수 있다. 기존의 지열 히트펌프의 온도에 대한 패러다임을 바꿀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그 외에도 해수열과 공기열을 융합한 복합열원 제품, 태양광에 적용할 수 있는 3HP 인버터 공기열 제품, 가정용 보일러나 온수기를 여러 대 병렬 연결한 캐스케이드 시스템도 선보인다.

캐스케이드 시스템은 오피스텔, 사우나 등 대형 건물에 난방과 급탕을 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에너지 절감뿐 아니라 잔고장이 적고 관리가 용이하다.

대성히트펌프 관계자는 "30년 이상의 냉난방 기술 경험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한 히트펌프를 개발, 보급해 왔으며 국내 시장은 물론 세계 시장에도 진출할 수 있도록 제품 개발에 역점을 두겠다"고 말했다.

한편, 대성히트펌프는 우리나라 에너지산업을 선도한 대성산업이 신재생에너지 보급을 위해 2010년도에 설립한 회사로 연구개발(R&D) 투자에 집중, 발전소 온배수를 활용한 시설원예 열 공급, 아파트 지열 냉난방 시범 공급 등 친환경 에너지 보급에 주력하고 있다. 

☞ 
이코노마이저 기술 

냉매를 특정 비율로 분배해 압축기의 부하를 감소시켜 효율을 극대화 시키는 기술을 말한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