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송두리 기자

dsk@ekn.kr

송두리 기자기자 기사모음




정부 "日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출 적극 대응하겠다"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19.08.13 19:51

"국제기구·태평양 국가와 협력"…일본 태도변화 이끄는 '압박 카드'란 분석도

외교부

▲외교부.(사진=외교부)

[에너지경제신문=송두리 기자] 외교부가 일본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출 문제에 적극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일본의 경제 보복조치로 한일 갈등이 심해지고 있는 상황에서 일본의 태도 변화를 이끌기 위한 압박 카드란 해석이다.

김인철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정부는 2018년 8월 일본 오염수 해양방출 계획에 대한 정보를 최초로 입수한 직후, 2018년 10월 일본 측에 우리 우려와 요청 사항을 담은 입장서를 전달하고, 양자 및 다자적 관점에서 관련 논의를 진행해 나가자고 제안한 바 있다"고 말했다. 이어 "정부는 북서태평양 보전실천계획 정부 간 회의, 국제원자력규제자회의 등 관련 다자회의와 한일 간 국장급협의, 해양환경정책회의, 환경공동위 등 여러 양자회의 등 계기에 일본 측에 우리 우려를 지속해서 표명하고 관련 설명을 요구해 왔다"고 설명했다.

그는 "정부는 올해 1월 그린피스 보고서 발표 이후 후쿠시마 원전 처리수 해양방출에 대한 우리 국민의 우려와 불안이 가중되지 않도록 일본의 투명한 정보 공유와 관련 협의 등을 지속 요구하여 왔다"면서도 "하지만 이에 대해 일본 측은 후쿠시마 오염수 관련 최종 처리방안과 시기는 아직 검토 중이며, 오염수 현황과 향후 처리계획 등에 대해서는 향후 국제사회에 성실히 설명하겠다는 기본 입장만을 알려오고 있다"고 했다.

김 대변인은 "향후 필요시 국제기구 및 피해가 우려되는 태평양 연안 국가들과 긴밀히 협력해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출 문제에 적극 대응해 나가고자 한다"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 정부는 오는 9월 국제원자력기구(IAEA) 총회와 11월 중국에서 열리는 한중일 원자력고위규제자회의 등에서 관련 문제를 제기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다만 한국을 제외하고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출 문제에 공개적으로 목소리를 내는 국가는 아직 없는 것으로 전해졌다.

외교부 당국자는 이에 대해 "그린피스 등 환경단체에서 여러 가지 우려를 표시하고 있고 태평양 연안 많은 나라의 환경당국이 이 사안을 지켜보고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NHK와 교도통신 등 일본 언론들은 도쿄전력을 인용해 지난 2011년 폭발 사고 후 후쿠시마 제1원전에서 보관하고 있는 오염수가 하루에 170톤(t)씩 늘어나고 있다고 보도한 바 있다. 2022년 여름께는 저장용량이 한계에 다다를 것으로 전망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