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신문 여헌우 기자] "본사 명칭이 GM(제너럴모터스)이니까 국내 법인도 ‘한국GM‘이라고 써야 맞지 않나요? 계속 ‘한국지엠’이라고 쓰셔서 헷갈립니다."
한 독자로부터 받은 지적이다. 그는 ‘다른 언론사들도 한국GM이라고 표기하는 경우가 더 많은 것 같다’고 덧붙였다.
사실 독자들을 혼란스럽게 만드는 경우가 이 뿐만은 아니다. 독일 자동차 업체 ‘폭스바겐’을 ‘폴크스바겐’이라고 쓰는 경우가 대표적이다. 일본 회사 ‘토요타’의 명칭 역시 ‘도요타’와 혼용된다. 내용을 이해하는 데는 큰 지장이 없겠지만 원칙을 따지는 독자들의 눈에는 거슬릴 수 있는 사례들이다.
다른 나라 언어를 국문으로 표현할 때는 ‘외래어표기법’을 지켜야 한다. 다양한 규정이 있지만 된소리를 쓰지 않고 현지 발음을 원칙으로 삼는다고 생각하면 편하다. 단 이미 굳어진 관습을 존중하되 그 범위와 용례는 따로 정한다는 내용도 외래어표기법에 담겼다.
이에 따르면 ‘폭스바겐(Volkswagen)’은 독일 발음을 인정해 ‘폴크스바겐’이라고 적는 게 맞다. 豊田(とよた)는 ‘도요타’라고 써야 한다. ‘한국지엠’도 ‘한국GM’이라고 표기해야 적합하다. ’쉐보레‘나 ’포르쉐‘도 각각 ’셰보레‘, ’포르셰‘로 바꿔야 한다.
다만 이들 회사들이 국내에 법인명을 등록하며 사용한 표현법이 이들과 다르다. ‘한국지엠주식회사’, ‘폭스바겐코리아’, ‘한국토요타자동차’ 등이다.
국립국어원은 ‘상품명이나 기업명의 경우 이미 어떤 이름으로 사업자 등록 등이 돼 있다면 그와 같이 쓰면 된다’고 해석하고 있다. 결국 외래어표기법이건 법인명이건 다 사용할 수 있다는 뜻이다.
대신 확실하게 기준을 정할 필요는 있다. 각각 다른 회사를 얘기하면서 한쪽은 외래어표기법을, 다른 쪽은 법인명을 적으면 곤란하다는 것이다. 한국GM이 좋다면 폴크스바겐, 도요타, 셰보레, 포르셰라고 표기해야 한다. 한국지엠이라고 쓰고 싶으면 폭스바겐, 토요타, 쉐보레, 포르쉐라고 통일하는 게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