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윤하늘 기자

yhn7704@ekn.kr

윤하늘 기자기자 기사모음




저금리 시대 '중위험·중수익' 인컴 펀드에 돈 몰린다...수익률도 '好好'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19.10.09 11:32

▲(사진=연합)


[에너지경제신문=윤하늘 기자] 저금리 시대에 변동성은 낮고 중장기적으로 안정적인 수익을 낼 수 있는 인컴 펀드에 자금이 몰리고 있다. 인컴 수익은 자본 수익에 비해 변동성이 낮고, 보유하는 것만으로도 수익이 발생하는 만큼 중장기 투자자들에게 적합하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했다.

9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 집계에 따르면 지난 8일 기준 국내에서 운용 중인 인컴 펀드 106개의 설정액은 총 3조136억원으로 올해 초 이후 1조4609억원이 순유입됐다.

이는 같은 기간 국내 주식형 펀드와 해외 주식형 펀드에 각각 1조4127억원, 2조6363억원이 순유출된 점과 대조적이다.

가장 인기를 끄는 펀드는 작년 1월 하나UBS자산운용이 출시한 ‘하나UBSPIMCO글로벌인컴혼합자산자투자신탁(H)[재간접형]’이다. 이 펀드에는 연초 이후 1조1156억원이 들어왔다.

수익률도 우수했다. 국내 주식형 펀드가 연초 이후 -1.9%로 손실을 본 것과 달리 인컴 펀드의 수익률은 평균 9.14%로 10%대에 육박했다.

펀드별로 보면 피델리티글로벌배당인컴증권자투자신탁(주식재간접형) 종류 C-w(17.60%) KBPIMCO글로벌인컴셀렉션증권자투자신탁(USD)(채권-재간접형)A(15.13%)삼성누버거버먼글로벌인컴증권자투자신탁UH[채권-재간접형]_A(14.60%) 순이었다.

인컴은 매매와 상관없이 자산 보유 기간 발생한 권리로부터 얻을 수 있는 금전적 이익이다. 채권의 이자 수익, 주식의 배당 수익, 리츠(REITs) 상품의 임대 수익 등이 이에 해당된다. 최근 글로벌 중앙은행들이 경기 둔화 등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기준금리를 잇따라 인하하고 있는 만큼 ‘인컴 자산’에 대한 매력도가 더욱 커진 것으로 풀이된다.

즉 인컴 펀드는 채권, 고배당주, 리츠, 우선주 등에 분산 투자해 안정적인 수익을 추구하는 중위험·중수익 상품인 것이다.

이같은 인기에 힘입어 자산운용사들도 최근 증시불안과 금리 하락에 인컴 자산에 투자하는 신규 펀드를 잇따라 내놓고 있다.신한BNP파리바자산운용은 10월 초 높은 인컴 수익과 낮은 변동성을 추구하는 단기채권형 펀드에 분산 투자하는 ‘신한BNPP 글로벌 단기채권 펀드’를 선보였다.

KTB자산운용도 지난달 전체 자산의 60% 이상을 글로벌 채권, 크레딧, 주식형 인컴 상장지수펀드(ETF) 등 인컴 자산에 투자하는 ‘KTB글로벌멀티에셋인컴EMP펀드’를 출시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