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김아름 기자

beauty@ekn.kr

김아름 기자기자 기사모음




생보사, 3Q누적 순이익 24%↓…금감원 "경영 방식 변화 필요"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19.12.03 08:00

[에너지경제신문=김아름 기자] 금융감독원이 생명보험사의 경영 방식에 제동을 걸었다. 올해 3·4분기 실적을 발표하며 보험료 성장 중심의 방식이 한계에 도달했다는 지적이다.

3일 금감원에 따르면 국내 24개 생보사의 지난 9월 말까지 당기순이익은 3조573억원으로 지난해보다 24.3% 감소했다.

특히 보험영업 부문에서 18조457억원의 손실이 발생했으며 손실 규모는 지난해보다 1조1755억원(+7%) 증가했다.

이와 관련해 금감원은 "저축성보험 만기도래 등에 따른 지급보험금이 증가한 것이 주원인이다"라고 분석했다. 투자영업이익이 18조6678억원으로 소폭(1535억원·+0.8%) 늘었는데도 영업 부문에서 손실이 크다 보니 전체적으로 당기순이익이 큰 폭으로 하락했다는 것이다.

그룹별 당기순이익을 살펴 보면 대형사와 외국계 생보사는 부진한 흐름을 나타냈으며, 은행계 생보사의 경우 선방한 모습이다. 특히 국내 ‘빅3’로 꼽히는 삼성생명과 한화생명, 교보생명 등 대형 3개사의 당기순이익은 1조5809억원을 기록, 지난해보다 36.4% 급감했으며 외국계 9개사(동양생명과 푸본현대, 라이나, 메트라이프, 카디프, ABL, 처브라이프, AIA, 푸르덴셜 등)도 지난해와 비교해 16.3% 감소한 7665억원 수치다.

반면 중소형 5개사인 교보라이프와 미래에셋생명, 흥국, DB, 오렌지라이프 등은 되레 3.7% 증가해 4176억원을 기록했으며 은행계 생보사 DGB·KB·신한·IBK·농협·KDB·하나 등도 2923억원(+25.7%)의 순이익을 달성했다.

수입보험료는 3·4분기까지 78조1791억 원, 지난해 대비 2852억원(+0.4%) 증가했으며 보장성보험은 4.1% 증가한 32조2808억원을, 퇴직연금·보험은 17.6% 늘어난 8조1014억원이다.

반면 변액보험과 저축성보험은 각각 13조4722억원(-7.6%), 24조3197억원(-4.8%)으로 나타났다.

이에 금감원은 현재 업황을 고려해 보험사가 외형 성장 집중에서 변화를 꾀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최근 업황이 저출산·고령화와 저금리, 저성장 등으로 최악인데도 여전히 대부분 보험사가 리스크 관리보다 수입보험료 등 외형 성장에 집중하고 있다는 이유에서다.

금감원은 "보험시장 포화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어 과거와 같은 수입보험료 성장 중심의 경영방식으로는 한계에 직면했다"라며 "소비자 보장 수요에 부합하는 상품을 개발하고 상품개발 과정에서부터 민원·분쟁 소지를 최소화하는 것은 물론, 영업 효율화과 리스크 중심 경영으로 지속 가능성을 제고할 필요가 있다"라고 강조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