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영등포 쪽방촌 주민들(사진=윤민영 기자) |
[에너지경제신문 윤민영 기자] "내가 24살에 여기 와서 지금 71살 됐으니까 딱 50년 만에 새 집에 갈 수 있어요."
영하 4도의 날씨에 집 앞으로 바람을 쐬러 나온 노인이 기자에게 건넨 말이다. 21일 기자가 서울 영등포구의 쪽방촌을 직접 방문했더니 현지 주민들은 전날 발표된 정부의 개발 계획 소식에 어수선한 분위기를 드러냈다. 거주자들은 대부분 70∼80대의 홀로 사는 노인들이었다.
30대 초반의 기자가 방문하자 주민들은 젊은 사람들이 갑자기 많이 온다며 삼삼오오 모여 이야기를 시작했다. 일부 주민들은 "지금보다는 낫지 않겠나"라는 기대감을 드러냈고 또 다른 주민들은 "그 때가 돼봐야 안다"는 반응으로 나뉘어졌다. 그러나 대부분 임시주거지라도 마련돼서 보금자리를 잃지만 않으면 된다는 반응이었다.
쪽방촌 길 건너편에 위치한 영등포 쪽방 상담소 입구에서 한 노인을 만났다. 그는 "쪽방촌 주민이라도 영구임대 입주 조건을 충족하는 사람만 입주할 수 있다고 했다"며 "그럼 보증금 160만 원이 있어야 하는데 그 돈 때문에 임대주택 못 들어갈 사람도 많아서 정부가 어떻게든 지원해줬으면 좋겠다"라고 말했다.
국토교통부와 서울시는 지난 20일 ‘영등포 쪽방촌 개발 계획’을 발표했다. LH·SH와 손잡고 영등포 쪽방촌이 위치한 1만㎡ 부지를 공공주택사업으로 정비하겠다는 것이다. 현재 쪽방촌에 거주하고 있는 주민 360여명을 위한 영구임대는 물론 청년과 신혼부부를 위한 행복주택, 민간분양 물량을 총 1200가구 공급하겠다고 약속했다. 또 쪽방촌 주민들에게 무료급식과 진료를 지원하는 돌봄시설도 마련 계획도 포함됐다.
개발 계획만 놓고 보면 일사천리로 진행될 것 같은 사업이 왜 50년이라는 세월동안 정체돼 있었던걸까. 이번 사업은 그동안 정부가 쪽방촌 일대를 개선하기 위해 여러 번 시도한 끝에 세워졌다. 지금으로부터 8년 전인 2012년에는 일부 가구를 리모델링하는 사업을 진행했다. 그러나 정부는 리모델링만으로는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없었다.
일각에서는 이번 개발 계획이 선거용이 아니냐는 의심도 제기했다. 하지만 서울시는 지속적인 관심 속에 나온 것이라고 설명했다.
명노준 서울시 공공주택과장은 "그동안 쪽방촌이나 고시원, 헌법상의 기본 주거권에 대한 최소 기준에 미달하는 부분에 대해 지속적인 관심을 가졌다"며 "전면 철거가 어려웠던 이유는 해당 사업지에 정착하고 있는 사회적, 공익적 단체의 생태계 문제도 있었는데 이번에 충분한 공감을 이뤄냈다"고 설명했다.
현재 쪽방촌 인근에는 주민들을 위한 무료급식소나 물품지원, 알콜 중독 치료 외 질환자들을 진료하는 시설이 마련돼 있다. 단순히 주거만 해결하는 게 아니라 복지가 병행돼야 쪽방촌 주민들이 최소한의 삶을 이어나갈 수 있다.
하지만 복지지원시설을 설득한다고 해도 영등포 쪽방촌 개발이 순조롭게 이뤄지기 위해서 해결해야 할 과제가 또 있다. 이제 막 ‘구역 지정’이라는 첫 발을 뗀 해당 사업지는 실질적인 개발이 진행되려면 토지를 수용하는 절차가 남았기 때문이다. 쪽방촌의 실질적인 소유자들로부터 토지 보상 문제를 해결해야 이번 사업이 계획에 그치지 않고 현실화 될 수 있는 뜻이다.
추운데 집에 안 들어가시냐고 묻는 기자의 말에 쪽방촌 주민은 답했다.
"집에 있으면 말 할 사람도 없고 감옥 같아. 어제부터 카메라가 많이 왔는데 오늘은 기자님도 오고 좋네. 나는 여기 계속 앉아 있을래."
영하 4도의 날씨에 집 앞으로 바람을 쐬러 나온 노인이 기자에게 건넨 말이다. 21일 기자가 서울 영등포구의 쪽방촌을 직접 방문했더니 현지 주민들은 전날 발표된 정부의 개발 계획 소식에 어수선한 분위기를 드러냈다. 거주자들은 대부분 70∼80대의 홀로 사는 노인들이었다.
30대 초반의 기자가 방문하자 주민들은 젊은 사람들이 갑자기 많이 온다며 삼삼오오 모여 이야기를 시작했다. 일부 주민들은 "지금보다는 낫지 않겠나"라는 기대감을 드러냈고 또 다른 주민들은 "그 때가 돼봐야 안다"는 반응으로 나뉘어졌다. 그러나 대부분 임시주거지라도 마련돼서 보금자리를 잃지만 않으면 된다는 반응이었다.
쪽방촌 길 건너편에 위치한 영등포 쪽방 상담소 입구에서 한 노인을 만났다. 그는 "쪽방촌 주민이라도 영구임대 입주 조건을 충족하는 사람만 입주할 수 있다고 했다"며 "그럼 보증금 160만 원이 있어야 하는데 그 돈 때문에 임대주택 못 들어갈 사람도 많아서 정부가 어떻게든 지원해줬으면 좋겠다"라고 말했다.
국토교통부와 서울시는 지난 20일 ‘영등포 쪽방촌 개발 계획’을 발표했다. LH·SH와 손잡고 영등포 쪽방촌이 위치한 1만㎡ 부지를 공공주택사업으로 정비하겠다는 것이다. 현재 쪽방촌에 거주하고 있는 주민 360여명을 위한 영구임대는 물론 청년과 신혼부부를 위한 행복주택, 민간분양 물량을 총 1200가구 공급하겠다고 약속했다. 또 쪽방촌 주민들에게 무료급식과 진료를 지원하는 돌봄시설도 마련 계획도 포함됐다.
개발 계획만 놓고 보면 일사천리로 진행될 것 같은 사업이 왜 50년이라는 세월동안 정체돼 있었던걸까. 이번 사업은 그동안 정부가 쪽방촌 일대를 개선하기 위해 여러 번 시도한 끝에 세워졌다. 지금으로부터 8년 전인 2012년에는 일부 가구를 리모델링하는 사업을 진행했다. 그러나 정부는 리모델링만으로는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없었다.
일각에서는 이번 개발 계획이 선거용이 아니냐는 의심도 제기했다. 하지만 서울시는 지속적인 관심 속에 나온 것이라고 설명했다.
명노준 서울시 공공주택과장은 "그동안 쪽방촌이나 고시원, 헌법상의 기본 주거권에 대한 최소 기준에 미달하는 부분에 대해 지속적인 관심을 가졌다"며 "전면 철거가 어려웠던 이유는 해당 사업지에 정착하고 있는 사회적, 공익적 단체의 생태계 문제도 있었는데 이번에 충분한 공감을 이뤄냈다"고 설명했다.
현재 쪽방촌 인근에는 주민들을 위한 무료급식소나 물품지원, 알콜 중독 치료 외 질환자들을 진료하는 시설이 마련돼 있다. 단순히 주거만 해결하는 게 아니라 복지가 병행돼야 쪽방촌 주민들이 최소한의 삶을 이어나갈 수 있다.
하지만 복지지원시설을 설득한다고 해도 영등포 쪽방촌 개발이 순조롭게 이뤄지기 위해서 해결해야 할 과제가 또 있다. 이제 막 ‘구역 지정’이라는 첫 발을 뗀 해당 사업지는 실질적인 개발이 진행되려면 토지를 수용하는 절차가 남았기 때문이다. 쪽방촌의 실질적인 소유자들로부터 토지 보상 문제를 해결해야 이번 사업이 계획에 그치지 않고 현실화 될 수 있는 뜻이다.
추운데 집에 안 들어가시냐고 묻는 기자의 말에 쪽방촌 주민은 답했다.
"집에 있으면 말 할 사람도 없고 감옥 같아. 어제부터 카메라가 많이 왔는데 오늘은 기자님도 오고 좋네. 나는 여기 계속 앉아 있을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