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연합. |
은행들의 지난해 가계대출 성장률이 금융당국 권고치를 웃돌며 긴장 상태에 놓이게 됐다. 앞서 금융당국은 지난해 한 해 가계대출 성장률을 5% 내외로 맞출 것을 권고했다.
KB국민은행을 제외한 신한·하나·우리은행 등 주요 은행의 지난해 가계대출 성장률이 최대 9%에 이른 것으로 나타난 만큼 은행들은 올해 가계대출을 더욱 바짝 조이며 속도 조절에 나서겠다는 계획이다.
13일 은행권에 따르면 지난해 주요 은행의 가계대출 성장률은 금융당국 권고치인 5%를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한은행의 지난해 가계대출 성장률은 9.0%(9조5710억원)로 국민·신한·하나·우리은행 등 주요 4개 은행 중 가장 높았다. 가계대출 잔액은 115조8750억원까지 확대됐다. 신한은행 관계자는 "보금자리론, 안심전환대출 등 주택금융공사에 유동화 되기 전 대출 자산이 포함된 수치"라며 "이를 제외하면 은행의 가계대출 증가율은 4.2~4.3%에서 관리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하나은행의 가계대출 성장률이 7.8%(8조3210억원)로 높았다. 가계대출 잔액은 114조7680억원이다. 우리은행 가계대출 성장률은 5.6%(6조3370억원)로, 가계대출 잔액은 119조8340억원으로 늘었다.
금융당국 권고치 보다 가계대출 성장률이 낮은 은행은 국민은행이 유일했다. 국민은행의 지난해 가계대출 성장률은 4.7%(6조6000억원)로 5%에 미치지 않았다. 가계대출 잔액은 147조9000억원으로 4개 은행 중 가장 많았지만, 가계대출 관리를 통해 잔액 규모가 많이 증가하지 않았다는 게 국민은행 설명이다. 국민은행 관계자는 "지난해 성장목표를 지키기 위해 보수적으로 관리를 해 5% 이하 성장률을 맞출 수 있었다"고 말했다.
금융감독원이 은행권에 명확한 연간 가계대출 성장률을 제시한 것은 지난해가 처음이라 이를 지키지 못한 은행들에 어떤 조치를 취할 지를 두고 긴장하는 분위기다. 은행권 한 관계자는 "지난해 부동산 가격 폭등과 대출 규제 등 가계대출 억제 기조에 따라 금감원이 처음으로 5%란 연간 가계대출 성장률을 권고했다"며 "권고치를 지키지 못할 경우 어떤 불이익이 있는 지 선례가 없기 때문에 향후 금융당국이 내릴 조치를 지켜보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은행들은 올해 가계대출 성장률 목표치를 전반적으로 하향 조정한 상태다. 지난해 예상보다 가계대출 성장률이 높았던 만큼 스스로 가계대출 조이기에 나서겠다는 의도다. 올해 가계대출 성장률 목표치를 은행별로 보면 국민은행 2∼3%, 우리은행 4.5%, 하나은행 5% 이내 정도다. 신한은행은 구체적인 수치를 공개하지는 않았으나, 이익보다는 적정 성장을 추구하며 건전성 관리에 더욱 집중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밖에 NH농협은행은 5.4%로 잡았다.
은행 일각에서는 금융당국 기조에 따라 올해 가계대출 목표치를 낮추면서도, 대출 수요가 있는 상황에서 억지로 가계대출을 줄이는 것에는 한계가 있다는 하소연도 나온다. 지난해의 경우 정부의 부동산 대책 등에 따라 주택담보대출 등은 강제로 줄일 수 있었으나, 이밖에 전세자금대출, 신용대출 등 상대적으로 규제가 강하지 않은 대출에 대해서는 은행들이 자체적으로 대출을 줄이기에는 제약이 있다는 것이다. 시중은행 한 관계자는 "가계대출 수요가 있는 데도 은행이 억지로 대출을 막기 어려운 것이 사실"이라며 "신용도에 문제가 없고 대출을 할 수 있는 고객이 대출을 원할 때 은행에서 대출을 안할 수는 없다. 대출 수요에 대한 자연 증가분이 있기 때문에 낮은 권고치를 맞추기 어려운 점도 있다"고 말했다.
한편 올해 기업대출 성장률 목표치의 경우 국민은행은 5∼6%, 우리은행은 3.5%, 하나은행은 5% 내외로 잡았다. 기업대출은 은행권이 점차 확대하고 있는 추세라 전반적으로 목표률을 더 높게 설정했다. 신한은행 또한 기술금융, IP담보대출 등을 확대해 자금 지원을 더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농협은행은 6.8%다.
[에너지경제신문=송두리 기자, dsk@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