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최윤지 기자

yunji@ekn.kr

최윤지 기자기자 기사모음




민·관, ‘제로에너지건축물 확대’…에너지 성능향상에 협력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0.05.11 13:36
제로에너지

[에너지경제신문 최윤지 기자] 국토교통부가 지난 1월 공공건축물에 ‘제로에너지’ 의무제를 시행한다고 밝힌 가운데 민·관이 제로에너지 건물의무제를 확대하고 건물 에너지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적극적인 행보를 보이고 있다.

11일 산업통상자원부(이하 산업부)와 국토교통부(이하 국토부)는 정부세종청사에서 건물 부문 에너지 절감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국토부는 지난 1월 ‘제2차 녹색건축물 기본계획’을 고시하고 올해 새로 짓는 연면적 1000㎡(제곱미터) 이상 공공건축물을 대상으로 제로에너지 건축물로 짓는 것을 의무화한다고 밝힌 바 있다.

이번 업무협약을 계기로, 산업부와 국토부는 양 부처 에너지성능 향상 사업의 효과를 높이고 2025년부터 민간부문에서도 제로에너지건축물의무화를 확대 적용하기 위한 본격 채비에 나선다.

양 기관은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전체 에너지소비량의 약 17%를 차지하는 건물 부문의 에너지효율 향상과 ‘2030 국가 온실가스감축 목표(건물부문 BAU 대비 32.7%)’ 달성을 위해 더욱 적극적으로 협력하기로 했다.

산업부와 국토부는 이날 체결한 협약에 따라, 건물 에너지절감의 실질적 성과 도출을 위해 건축물에너지 혁신 솔루션 태스크포스(T/F)를 관련 전문기관과 함께 구성·운영할 계획이다.

김상문 국토부 건축정책관은 "2020년 공공부문 제로에너지 건축물 의무화가 시행된 시점에서 이번 산업부와의 업무협약은 경제·혁신적 사업모델을 발굴해 2025년 민간부문 제로에너지건축물 의무화 확대까지 대비할 수 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고 언급했다.


올해부터 공공건축물을 대상으로 시행된 제로에너지 건물 의무제로 건물일체형태양광발전시스템(BIPV)도 함께 주목받고 있다. 건물일체형태양광발전시스템은 태양광 모듈을 건축자재로 활용해 태양광에너지를 얻을 수 있어, 경제성과 도시미관을 함께 확보해야 하는 공공건축물에서 선호되고 있다.

서울시는 3월 민간 건물에 건물일체형 태양광 설치 시 보조금을 최대 80%까지 지원하는 ‘건물일체형태양광 보급 시범사업 추진계획’을 발표하고, 지난달 6일 시범사업 대상 3곳을 선정한 바 있다.

건물일체형 태양광 보급 시범사업 대상으로 선정된 서울 강남구 소재 ‘아리빌딩’, ‘알파빌딩’과 양천구 소재 ‘세신교회’ 등 세 곳은 오는 8월까지 설비공사를 완료할 예정이다. 세 개 건물 외벽에는 총 141㎾(킬로와트)의 컬러형 태양광이 설치돼, 건물당 연간 1만4000~5만4000kWh(킬로와트시) 규모의 전기가 자체 생산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연간 114∼700만 원의 전기료를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며 연간 이산화탄소 53톤을 줄여 온실가스 감축효과도 기대된다.

한화

▲건물일체형태양광이 적용된 한화그룹 본사 사옥


국내 최초로 건물일체형 태양광 모듈을 개발했던 한화는 지난해 말 리모델링을 완료한 서울 중구 본사 한화그룹 본사 사옥에 한화큐셀의 건물일체형태양광을 적용했다. 이번에 적용한 건물일체형태양광은 본사 사옥 전력소비량의 3% 이상을 충당할 전망이다.

건물일체형 태양광 수요에 따라 연구개발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신성이엔지와 코오롱글로벌은 지난달 24일 효율을 높이고 색상을 다양화한 건물일체형 태양광 패널 ‘솔라스킨’의 연구개발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흰색 출시에 이어 테라코타(빨간 벽돌색) 등 다양한 색상의 제품이 출시될 예정이다.

지난달 27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한국남동발전은 버려지는 석탄재를 활용해 만든 인공경량골재로 건물일체형태양광 패널을 제조하는 기술의 실증을 완료했다. 기존 건물일체형태양광 패널은 G2G(태양전지 앞·뒤를 유리로 감싸 내구성을 높인 방식)로 강화유리와 강화유리 사이에 태양광 셀을 집어넣는 구조지만, 이번에 남동발전이 개발에 성공한 패널은 뒤판에 강화유리 대신 인공경량골재를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