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에너지경제신문 나유라 기자] 미국이 중국 회사와 기관 33곳을 무더기로 블랙리스트에 올렸다. 대량살상무기(WMD) 및 중국 신장 위구르 자치구에서의 인권탄압과 관련한 이유를 들었는데, 블랙리스트에 오른 회사 중에는 소프트뱅크가 투자한 회사도 포함된 것으로 전해졌다.
거래제한 명단에 포함되면 미국 정부의 허가 없이는 미국 기술에 접근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상당한 피해를 입을 것으로 보인다.
미 상무부는 22일(현지시간) 보도자료를 내고 WMD 및 군사활동과 관련이 있는 중국 정부·상업기관 24곳을 미국의 거래제한 명단(Entity List)에 올린다고 밝혔다.
이들 기관은 중국과 홍콩, 케이먼 제도 소재로, 미국의 국가안보나 외교정책에 반하는 활동에 관련돼 있다고 상무부는 설명했다.
상무부는 또 신장 위구르 자치구에서의 인권탄압과 관련해 중국 공안 소속 과학수사연구소와 8개 기업을 거래제한 명단에 올린다고 밝혔다.
이날 거래제한 명단에 오른 회사 중에는 중국의 대형 인공지능 회사 넷포사가 포함돼 있다. 이 회사는 안면인식 관련 자회사가 위구르 지역 무슬림 감시에 연관된 것으로 전해졌다.
손정의 회장이 이끄는 소프트뱅크가 투자한 로봇 회사 클라우드마인즈도 명단에 들어갔다.
클라우드마인즈는 소프트뱅크 자회사가 개발한 인공지능 로봇 페퍼와 같은 로봇 운용을 위해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 회사는 지난해 미국에서 중국 본사로 기술 및 기술정보를 이전하는 게 금지됐다.
거래제한 명단에 포함되면 미국 정부의 허가 없이는 미국 기술에 접근이 불가능하다.
앞서 미 상무부는 지난 15일 화웨이를 상대로 대폭 강화된 규제조치를 내놨다. 그간 미국에서 생산된 반도체를 화웨이로 수출하지 못하게 하다가 미국의 기술을 활용하는 해외 기업도 화웨이에 특정 반도체를 공급할 때 미국의 허가를 받게 한 것이다.
이어 이날 조치는 중국의 영향력 확대 차단을 도모하는 한편 홍콩보안법을 직접 제정하겠다는 중국의 움직임을 겨냥한 것으로 보인다.
미국은 전날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강력 대처를 공언하고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이 재고를 촉구하는 등 중국의 행보에 반발해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