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07월 03일(수)
에너지경제 포토

윤민영 기자

min0@ekn.kr

윤민영 기자기자 기사모음




건설업계, 코로나 이후 신성장동력으로 ‘데이터센터’ 주목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0.06.16 16:39
0002916772_001_20190624141104552

▲코로나 이후 비대면 문화가 자리잡으며 데이터 수요가 늘어가고 있다. 이에 건설사들은 시공 능력을 앞세워 부지 선정부터 임대까지 사업 전반에서 수익을 창출할 전망이다. 사진은 네이버가 강원도 춘천에서 운영 중인 데이터센터.

[에너지경제신문 윤민영 기자] 코로나 팬데믹 이후 데이터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어나면서 이를 수용할 데이터센터의 역할이 중요해지고 있다. 건설사들 역시 일반 건물과 달리 별도의 시공기술이 필요한 데이터센터 구축을 하나의 신성장동력으로 보고 관련 사업에 뛰어들고 있다. 특히 일부 건설사는 단순 시공을 넘어 부지 개발부터 임대수익까지 창출할 수 있는 모델을 검토 중이다.

16일 한국데이터센터연합회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국내 데이터센터는 총 158개다. 그 중 정부 및 공공 운영은 68개, 민간 운영은 90개다. 2025년까지 공공 5개, 민간 27개로 총 32개의 데이터센터가 신규로 구축될 예정이다. 새로 구축될 민간 센터 27개 중 네이버 처럼 자사서비스 제공을 위한 데이터센터를 제외한 24개는 상업용으로 가동된다.

상업용 데이터센터가 연간 15.9%씩 성장한다는 가정하에 IT 공급가능 전력량은 5년 뒤 700MW로 추정되며, 이는 지난해 대비 약 197.3% 증가한 수치가 된다. 지난해 기준 대한민국은 아시아에서 상업용 데이터센터 시장 규모가 4위에 불과했지만 일본에 이어 2위로 부상할 가능성이 생긴다는 뜻이다.

이에 따라 그동안 정보통신기술기업(ICT)의 발주를 받아 시공하는 역할에 그쳤던 건설사들도 최근 데이터센터에 투자하려는 늘고 있다. HDC현대산업개발은 최근 NHN과 손잡고 김해 부원지구에 5000억원 규모의 자금을 투입해 데이터센터와 연구개발센터 건립에 나섰다. 하나금융, 대구은행 등 다수의 금융기업 데이터센터를 시공해왔던 GS건설도 데이터센터 사업에 본격 진출하기 위한 준비를 하고 있다. 부지선정, 시공, 임대까지 사업 전반에 걸친 계획을 수립 중이다. SK건설도 계열사인 SKC&C와 함께 데이터센터 건설에 나서고 있다.

공기업인 한국토지주택공사(LH)도 네이버와 세종시와 손잡고 10만대 이상 대규모 서버를 수용할 수 있는 하이퍼스케일 센터 건립에 나선다. 하이퍼스케일 사업은 국내에서는 첫 사례이며 LH의 역할은 부지 인허가, 토지매매계약 체결, 기반 시설 공사 추진으로 알려졌다. 사업 규모는 6500억원이다.

건설사 관계자는 "요즘 건설사들이 주택사업과 연계한 스마트 시스템을 구축하면서 IT사업과도 연관성이 많이 생겼고 임대업은 이미 많이 진출한 상황이다"며 "데이터센터 사업의 경우는 건설사들이 기존에 갖고 있는 시공기술은 물론 건물 관리 노하우 등을 집약해서 하나의 사업 영역으로 확장하는데 큰 무리는 없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데이터센터 사업의 한계점도 존재한다. 하이퍼스케일 등 데이터센터의 규모가 클수록 사업 경쟁력도 커지지만 아직까지 국내에는 사례가 극히 드물어 관련 규제에 부딪히고 있기 때문이다. 현재 LG U+ 평촌 메가센터가 하이퍼스케일로 확장을 완료했고 SK 판교캠퍼스도 확장 예정, 세종 네이버 제2데이터센터와 서울 용산 KT원효IDC가 각각 구축을 앞뒀다.

또 향후 하이퍼스케일 데이터센터의 수를 늘리려면 우리나라가 갖고 있는 전력 수전용량의 제약을 극복해야 한다. 국내에서 허용하는 수전용량은 4만kW(22.9kva)로, 이를 초과하는 전력을 수전할 경우에는 사업자가 변전소를 추가로 설치해야 한다. 이 때 변전소 1곳당 설치 비용은 300억~400억원에 달한다.

이 밖에 디지털리얼티, 에퀴닉스 등 해외 IT기업들의 데이터센터도 국내 시장에 진출하면서 국내 기업과 경쟁관계에 놓인다. 즉 전체적인 시장규모는 커지지만 그만큼 경쟁도 치열할 것이라는 예상이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데이터산업 시장 규모가 지난해 기준 16조원을 훌쩍 넘으면서 시공사들도 지속적인 수익 창출을 위해 임대나 관리 등의 영역으로 확장할 가능성이 높으나 정책적 지원도 필요한 실정"이라며 "부지 확보 등에서도 사업성이 갈릴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냉각장치나 전력수급 장치 등 별도의 시공기술이 필요하기 때문에 관련 포트폴리오나 기술 또는 타사와 협력 체계를 잘 갖추고 있는 대형사 위주로 경쟁이 치열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