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07월 01일(월)
에너지경제 포토

윤민영 기자

min0@ekn.kr

윤민영 기자기자 기사모음




[상반기 주택시장] 집값, 안정세 보이다 반등… 청약은 역대급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0.06.28 11:24

로또 등장에 서울에서만 1순위 통장 15만9천개 몰려
주택거래량 늘고 보유세 피하기 위한 증여도 급증
"공급 부족하거나 개발호재 있는 곳 상승 가능성 커"

서울아파트

▲올해 상반기 서울의 집값은 안정세를 보이다가 6월을 기점으로 반등 조짐이 나타났다. 이에 정부는 서울과 수도권 대부분 지역을 규제지역으로 묶었지만 하반기에도 주택시장은 잠시 소강상태를 보일 뿐, 여전히 오를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사진은 서울 강남의 한 고가 아파트 단지 전경.(사진=윤민영 기자)

[에너지경제신문 윤민영 기자] 5월까지 안정세를 보이던 서울 집값이 6월 첫째 주를 기점으로 9주만에 보합 전환되며 서서히 오르기 시작했다. 지난해 12·16 대책 이후 종합부동산세 세율 인상, 분양가상한제 확대와 코로나19 등이 맞물리면서 강남3구(강남·서초·송파)를 중심으로 거래가가 떨어지기 시작했지만 일시적인 효과에 그친 것이다. 기준금리 인하, 추경 예산 증가 등으로 유동자금이 풀린 영향과 6월 보유세 등 세금 부담을 줄이기 위해 나온 급매물이 소진된 영향이 크다. 특히 분양시장은 코로나19 여파로 인해 사이버 견본주택을 열거나 분양을 미루는 등 상당히 위축된 모습을 보였지만, 청약률은 역대급 기록을 갱신하기도 했다.

28일 부동산 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21억원의 상한가를 기록했던 잠실 리센츠 전용면적 84㎡는 한 때 16억원까지 내려갔다가 올해 6월에는 23억원으로 다시 신고가를 갱신한 바 있다. 정부는 GBC(글로벌비즈니스센터) 등 개발호재가 있는 잠실·청담·대치삼성동 등 강남3구 일대를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하며 호가 잡기에 나섰다. 아울러 강북권에서도 용산정비창 등 개발계획이 발표된 용산구 일대도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으며 투기수요를 잡기 위한 대책 마련에 나섰다.

그러나 서울에서도 대출규제가 덜한 9억원 미만의 주택이 몰린 보다 규제가 덜한 수도권, 지방으로 투자 수요가 몰리면서 가격이 급등하는 풍선효과가 나타나기 시작했다.

따라서 정부는 서둘러 21번 째 추가 부동산 대책을 내놨다. 갭투자를 막겠다는 취지로 서울 집값 따라잡기 현상이 나타나고 있는 경기·인천 등 수도권 대부분과 대전 등 일부 지방을 조정대상지역 지정 또는 투기과열지구로 격상했다.

연이은 거래 규제로 인해 시세보다 분양가가 낮은 아파트들이 등장하며 청약시장에는 돌풍이 불었다. 한국감정원 청약홈에 따르면 지난 26일 기준 서울에서 쓰인 1순위 청약통장은 15만9003개로 2010년 이후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2018년 상반기 11만9030개로 10만개 돌파했고, 지난해 상반기 8만551개보다 약 2배 가까이 쓰인 것이다. 서울을 제외한 수도권과 인천, 지방에서도 세자리∼네자릿수 청약률이 나오기도 했다. 청약가점이 갈수록 높아지자 100% 추첨 방식인 무순위 청약에도 수만명이 몰리는 등 ‘줍줍’ 현상이 나타나기도 했다.

이에 정부는 청약시장도 실수요자 위주의 청약시장으로 재편하겠다고 나서며 조정대상지역과 투기과열지구로 격상된 곳에 즉시 규제를 적용했다. LTV 한도를 낮추고 다주택자의 전세대출에도 제동을 건 것이다.

상반기에는 주택거래량도 늘었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올해 5월 말까지 누적된 주택 매매거래량은 48만2300건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동기 25만 9215건 대비 86.1% 폭등했다. 5년 평균치인 37만3361건 보다도 29.2% 증가했다.

지역별로는 수도권과 지방 모두에서 거래량이 크게 늘었다. 5월 수도권의 주택매매거래량은 4만228건으로 전년동월 대비 50.0% 증가했다. 지방은 4만3266건으로 전년동월 대비 42.9% 늘었다.

보유세 부담을 피하기 위한 증여건수도 늘었다. 6월 말 양도세 중과 면제 혜택이 종료되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지난 5월 전국의 아파트 증여 건수는 6574건으로 올해 들어 가장 많았다. 특히 고가주택이 많은 서울 아파트의 증여 건수가 전국에서 가장 많았다. 서울의 아파트 증여 건수는 지난달 1566건을 기록했으며 이는 2006년부터 지난해까지 집계된 연평균 증여 건수(522건)의 3배에 달하는 수치다. 5월까지 서울의 누적 증여 건수는 6918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4639건)보다 49.1% 폭등했다.

연이은 규제 대책에도 불구하고 하반기 부동산 시장 상승세는 여전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서울 도심의 아파트 공급부족도 집값을 장기적으로 안정화 시키기에는 역부족이라는 시선이다, 주택담보대출 시 전입과 처분 요건이 강화되고 강남권의 경우 아파트값이 다시 과열될 경우 정부가 토지거래허가구역 추가 지정가능성을 내비쳤지만 타지역을 중심으로 여전히 풍선효과에 대한 우려가 존재한다.

임병철 114 수석연구원은 "서울 외곽의 9억원 이하 매물에도 다주택자의 거래 규제가 적용되고 향후 서울에서도 과열양상이 보이면 정부가 토지거래허가구역 추가 지정을 검토하겠다고 발표하며 해당 지역의 거래는 당분간 소강상태를 보일 것"이라며 "그러나 김포와 파주 등 규제가 덜하되 개발 호재가 있는 수도권을 중심으로 청약가점이 낮거나 현금을 가진 투자자들이 몰릴 가능성은 여전히 존재한다"고 설명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