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의회, 이재도·박태춘·김시환 의원...교육계 폭력근절 대책 촉구 기자회견
[안동=에너지경제신문 정재우 기자] 경북도의회, 이재도, 박태춘, 김시환의원은 오후 1시 30분 경상북도의회 기자실에서 체육계 폭력근절 대책 촉구를 위한 기자회견을 열었다.
이날 세 의원은 민의를 대변하는 도의원으로서 또, 체육인의 한 사람으로서 치미는 분노와 참담한 심정으로 이 자리에 섰다고 기자회견 취지를 밝혔다.
이재도·박태춘·김시환 의원은 "지난달 26일 우리는 어린 체육계 유망주 고 최숙현 선수를 또 허망하게 잃었다. 트라이애슬론(철인3종 경기) 국가대표 출신인 최 선수는 체육지도자와 닥터의 가혹행위에 시달리다가 극단적인 선택을 했다"고 지적했다.
또한 "문화체육관광부, 대한체육회, 교육부, 스포츠혁신위원회, 스포츠인권센터, 경북체육회, 경주시체육회는 고 최숙현 선수와 유족에게 먼저 진심으로 사과해야 할 것이라며, 대한체육회, 대한철인 3종 경기협회, 경북체육회, 경주경찰서 등 그 누구도 고인의 말에 귀 기울이지 않았으며, 아무런 도움이 되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이어 "안타까운 사건이 발생할 때마다 체육계의 일체의 폭력 행위에 대해서 무관용 원칙을 적용하겠다고 천명하고, 폭력근절을 위한 주요정책과 스포츠인권센터, 클린스포츠센터 운영 등을 시행하고 있지만, 애초부터 형식적, 보여주기 식 행정으로만 일관하고 있었음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을 뿐이라"고 했다.
이와 관련 체육계 폭력의 근본적인 근절과 재발방지를 위해 다음과 같이 촉구했다.
첫째, 어린 체육계 유망주를 죽음으로 몰고간 관계자들을 일벌백계 하고 관련 철저한 수사와 가해자의 처벌이 강력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해당사건에 대한 미온적인 대처나 은폐 의혹에 대해 클린스포츠센터 및 경북체육회 등 관계기관의 철저한 감사 및 조사가 선행돼야 한다.
둘째, 기존의 신고체계로는 절대 선수들을 폭력의 사각지대로부터 보호할 수 없다. 근본적인 대안이 필요하다. 이에 스포츠 자치분권이 제대로 정착될 수 있도록 시스템화해 나갈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시·군단위 체육회, 시·군청, 해당 협회에서 징계권과 운영권을 가지고 있고 이를 통합 관리하는 시스템 구축이 조속히 이뤄져야 할 것이다.
셋째, 스포츠인권 향상을 위한 제도적 장치마련이 적극적으로 이뤄져야 할 것이다. 국가대표뿐만 아니라 앨리트 체육의 비정상적 지도 관행을 뿌리뽑고 스포츠 현장에서의 권리와 자율성을 보장받을 수 있도록 경북도와 경북체육회의 적극적인 대책을 강력히 촉구 했다.
![]() |
▲기자회견문 발표 사진(제공-경북도의회) |
이날 세 의원은 민의를 대변하는 도의원으로서 또, 체육인의 한 사람으로서 치미는 분노와 참담한 심정으로 이 자리에 섰다고 기자회견 취지를 밝혔다.
이재도·박태춘·김시환 의원은 "지난달 26일 우리는 어린 체육계 유망주 고 최숙현 선수를 또 허망하게 잃었다. 트라이애슬론(철인3종 경기) 국가대표 출신인 최 선수는 체육지도자와 닥터의 가혹행위에 시달리다가 극단적인 선택을 했다"고 지적했다.
또한 "문화체육관광부, 대한체육회, 교육부, 스포츠혁신위원회, 스포츠인권센터, 경북체육회, 경주시체육회는 고 최숙현 선수와 유족에게 먼저 진심으로 사과해야 할 것이라며, 대한체육회, 대한철인 3종 경기협회, 경북체육회, 경주경찰서 등 그 누구도 고인의 말에 귀 기울이지 않았으며, 아무런 도움이 되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이어 "안타까운 사건이 발생할 때마다 체육계의 일체의 폭력 행위에 대해서 무관용 원칙을 적용하겠다고 천명하고, 폭력근절을 위한 주요정책과 스포츠인권센터, 클린스포츠센터 운영 등을 시행하고 있지만, 애초부터 형식적, 보여주기 식 행정으로만 일관하고 있었음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을 뿐이라"고 했다.
이와 관련 체육계 폭력의 근본적인 근절과 재발방지를 위해 다음과 같이 촉구했다.
첫째, 어린 체육계 유망주를 죽음으로 몰고간 관계자들을 일벌백계 하고 관련 철저한 수사와 가해자의 처벌이 강력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해당사건에 대한 미온적인 대처나 은폐 의혹에 대해 클린스포츠센터 및 경북체육회 등 관계기관의 철저한 감사 및 조사가 선행돼야 한다.
둘째, 기존의 신고체계로는 절대 선수들을 폭력의 사각지대로부터 보호할 수 없다. 근본적인 대안이 필요하다. 이에 스포츠 자치분권이 제대로 정착될 수 있도록 시스템화해 나갈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시·군단위 체육회, 시·군청, 해당 협회에서 징계권과 운영권을 가지고 있고 이를 통합 관리하는 시스템 구축이 조속히 이뤄져야 할 것이다.
셋째, 스포츠인권 향상을 위한 제도적 장치마련이 적극적으로 이뤄져야 할 것이다. 국가대표뿐만 아니라 앨리트 체육의 비정상적 지도 관행을 뿌리뽑고 스포츠 현장에서의 권리와 자율성을 보장받을 수 있도록 경북도와 경북체육회의 적극적인 대책을 강력히 촉구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