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04월 27일(토)
에너지경제 포토

정희순 기자

hsjung@ekn.kr

정희순 기자기자 기사모음




CJ ENM vs 딜라이브…콘텐츠사용료 인상안 놓고 ‘고래싸움’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0.07.09 15:58

"20% 올려야 제값" VS "상생 망각한 과도한 요구"

[에너지경제신문=정희순 기자] 콘텐츠 기업과 유선방송사업자 간의 신경전이 치열하게 펼쳐지고 있다. 콘텐츠사용료 인상을 놓고 PP(콘텐츠제공사업자)인 CJ ENM과 MSO(복합유선방송업체)인 딜라이브의 갈등이 첨예하게 이어지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중재에 나섰지만, 양 측의 입장차가 좀처럼 줄어들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 과기부 중재에도 갈등은 ‘팽팽’

9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이날 오후 PP사인 CJ ENM과 MSO사인 딜라이브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주재로 협상에 나섰다. 콘텐츠 사용료 인상을 놓고 양측의 갈등이 극에 달하자, 과기정통부가 중재에 나선 것이다.

앞서 CJ ENM은 딜라이브를 포함, 인터넷TV(IPTV), 케이블TV 업계에 두자릿수 이상의 프로그램 사용료 인상을 요청했다. 딜라이브 측에는 프로그램 사용료 20% 이상을 요구했다. 딜라이브가 이 같은 인상요구를 받아들일 기미를 보이지 않자, CJ ENM은 지난달 17일 공문을 통해 tvN과 OCN, Mnet 등 자사의 채널 13개의 공급을 이달 17일부터 중단하겠다고 통보했다. 또 지난 6일에는 딜라이브 가입자에게 채널공급 종료에 대한 안내공지가 진행되고 있지 않다면서 시청자들의 혼란을 최소화하기 위한 의무를 이행하라고 딜라이브에 요구했다. 사실상 ‘블랙아웃’을 감행하겠다는 취지다.

◇ 딜라이브 비롯한 개별 SO "업계 상생이 먼저"

딜라이브 측은 콘텐츠 공룡으로 부상한 CJ ENM이 ‘업계 상생’에 나서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SO의 방송 수신료 매출과 가입자가 모두 역성장하고 있는 상황에서 대형 PP사의 이같은 요구는 SO 뿐만 아니라 중소 PP사의 어려움도 가중시킬 뿐이라는 설명이다.

딜라이브 관계자는 "딜라이브는 그간 경영상황에 따라 적절한 대가 산정을 통해 매년 일정한 수준의 인상을 진행해왔다"면서 "딜라이브가 PP들에게 지급하고 있는 전체 프로그램사용료의 약 25%가 CJ ENM에 지급되고 있는 상황에서 CJ ENM의 20% 인상 요구는 받아들이기 어려운 과도한 수준"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미디어산업의 현실과 동떨어진 사용료 인상은 기타 PP들의 위축은 물론, 미디어산업 전체를 공멸하도록 하는 것"이라며 "CJ ENM이 자기 기업만의 이익 추구가 아니라 미디어 산업 전체가 상생할 수 있는 조치를 내리기를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최근에는 개별SO들도 우려의 목소리를 냈다. 지난 6일 전국개별SO발전연합회는 "SO의 방송 수신료 매출과 가입자가 모두 역성장하고 있는 상황에서 대형 콘텐츠 사업자의 일방적인 요구가 개별SO를 또 다른 위기로 몰아넣지는 않을까 두렵다"면서 "지난 세월동안 SO와 PP가 상호 협력하며 동반자로서 함께 국내 유료방송 시장을 성장시켜온 만큼, 이번에도 서로 상생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고 전했다.

◇ CJ ENM "딜라이브만 정률제…콘텐츠 제값받기 힘드네"

반면 CJ ENM은 이번만큼은 물러나기 힘들다는 입장이다. CJ ENM에 따르면, 현재 SO중 콘텐츠 사용료를 정액제가 아닌 정률제로 부담하는 회사는 딜라이브 뿐이다.

CJ ENM 관계자는 "딜라이브를 제외한 모든 SO들은 콘텐츠 사용료를 정액제로 부담하고 있는 상황이고 딜라이브만 자사 매출에 따른 정률제로 콘텐츠 사용료를 부담하고 있다"며 "딜라이브의 매출이 안 나오니 모든 업계가 고통을 분담하자는 것은 어불성설"이라고 말했다. 이어 "‘콘텐츠 선제공 후계약’ 등 업계서 이루어진 상식 밖의 관행도 이번에 근절하는 것이 미디어 콘텐츠 시장에 바람직하다고 보고 있다"라며 "구체적으로 밝힐 수는 없지만 이미 50% 이상의 SO와 협상을 마무리한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업계는 정부와 관련업계가 ‘콘텐츠 제값받기’ 문화에 힘을 싣고 있는 상황이라는 점도 CJ ENM이 더 공격적으로 나선 이유 중 하나라고 보고 있다.

CJ ENM 관계자는 "국내 콘텐츠 산업의 성장을 위해서라도 웰메이드 콘텐츠에 대한 제대로된 대가 산정이 필요하다"라며 "공정거래환경을 먼저 조성해야 더 좋은 콘텐츠가 지속적으로 생산될 수 있다는 게 기본 입장"이라고 전했다.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