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신문 김민준 기자] LG화학이 올해 2분기 전기차 배터리 호실적에 힘입어 5000억원이 넘는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시장의 전망치의 뛰어넘는 ‘어닝서프라이즈’다.
LG화학은 올해 2분기 매출액 6조9352억원, 영업이익 5716억원을 달성했다고 31일 공시했다. 이는 지난해 동기 대비 매출은 2.3%, 영업이익은 131.5% 증가한 실적이다.
전기차 배터리에서 큰 일을 냈다. LG화학의 전지부문은 이번에 자동차 전지에서 흑자 전환하며 분기 사상 최대 실적 달성을 달성했다. 폴란드 공장 수율 등 생산성 개선, 원가 절감 등으로 자동차 전지 사업에서 흑자를 거둔 게 컸다. 전기차 배터리와 에너지저장장치(ESS) 등 전지 부분에서 2분기에 벌어들인 영업이익이 1555억원이며, 매출은 2조8230억원을 기록했다.
유럽, 중국 등 전세계 친환경 정책 확대에 따라 전기차 배터리 공급이 늘고, 북미지역 대규모 ESS 프로젝트 공급이 증가하면서 매출이 전분기 대비 25% 늘었다.
특히 배터리 부분에서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2018년 4분기에 반짝 흑자를 기록한 적은 있지만 올해 2분기에 기록한 흑자는 앞으로 배터리 부문이 LG화학의 미래 성장을 견인할 효자 종목임을 확인해준 것이어서 남다른 의미가 있다.
LG화학 CFO 차동석 부사장은 "2분기에는 코로나19 영향에도 내부 효율성 제고 및 차별화된 역량 강화로 시장 기대치 보다 높은 실적을 달성했다"며 "특히 자동차 전지 부문에서 수율 정상화와 고정비 절감으로 구조적인 이익창출 기반을 마련한 것이 큰 의미"라고 설명했다.
석유화학 부문은 매출 3조3128억원, 영업이익 4347억원을 기록했다. 저유가 영향으로 제품가격이 하락하며 매출은 지난해보다 줄었지만, 중국 수요 회복에 따른 ABS 등 주요 제품 스프레드 확대로 지난해 1분기 이후 다섯 분기 만에 두 자릿수 영업이익률(13.1%)을 기록했다.
첨단소재부문은 매출 7892억원, 350억원의 영업이익을 냈다. 생명과학 부문은 매출 1603억원, 영업이익 141억원을, 자회사인 팜한농은 매출 1778억원, 영업이익 116억원을 기록했다.
LG화학은 3분기에도 전지와 석유화학 부문 등에서 양호한 성적을 이어갈 것으로 예상했다.
![[EE칼럼] 새정부의 “핵심광물 확보 전략” 성공 조건](http://www.ekn.kr/mnt/thum/202507/news-a.v1.20240904.0066f456bc57489fb8c9d7d3379d316e_T1.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