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은행, 우리금융지주. |
[에너지경제신문=나유라 기자] 우리금융지주(316140)의 주가가 8000원대의 늪에서 벗어나지 못하면서 하반기 완전 민영화 작업의 이행 여부에 관심이 집중된다. 정부는 하반기 ‘우호적인 여건’이 조성된다는 조건 하에 매각 작업을 개시하겠다고 밝혔지만, 현재 주가 흐름이 계속된다면 매각 시기 역시 내년으로 늦어질 수 밖에 없다는 관측이 나온다. 정부 역시 예금보험공사가 보유 중인 지분 매각 시기와 관련해 올해 하반기보다는 ‘3년 이내’라는 약속을 지키는데 더욱 무게를 두는 분위기다.
5일 유가증권시장에서 우리금융지주 주가는 전일 대비 0.12% 내린 8560원에 마감했다. 우리금융지주는 지주사 전환 이후 재상장일인 작년 2월 13일 1만5300원에서 이달까지 44% 급락했다. 이 기간 외국인 지분율은 27.51%에서 26.44%로 1%포인트 넘게 하락했다.
우리금융지주 주가가 하락한 것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인한 금융권 충당금 이슈로 국내 금융주에 대한 투자심리가 얼어붙은 점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하반기에도 금융주 건전성은 물론 실적 불확실성에 대한 우려가 있는 만큼 금융주 전반적으로 저평가 현상이 심화됐다는 평가가 나온다. 실제 우리금융지주 재상장일 기준으로 보면 신한지주(-30.5%)는 물론 KB금융(-23%), 하나금융지주(-29%) 등 다른 지주사도 주가가 10% 넘게 급락했다. 특히 우리금융지주의 경우 2분기 순이익이 1430억원으로 1년 전보다 77% 급감한 점이 주가에 발목을 잡고 있다는 분석이다. 상반기 순이익은 44% 줄어든 6605억원이었다.
증권가에서는 우리금융지주의 주가가 현 상태를 유지한다면 하반기 정부의 완전 민영화 작업에도 차질을 빚을 수 밖에 없다고 보고 있다. 금융당국은 지난해 6월 예금보험공사가 보유한 우리금융지주 지분 17.25%를 2020년부터 3년간 약 2~3차례에 걸쳐 최대 10%씩 나눠서 매각한다고 발표했다. 이후 공적자금관리위원회(공자위)는 올해 6월 공자위 매각소위원회 합동간담회를 열고 올해 하반기 지분 매각을 개시한다고 발표했다. 다만 정부는 간담회에서 우리금융지주의 지분 매각과 관련해 ‘우호적인 여건 조성’이라는 조건을 달았다. 즉 정부가 하반기에 우리금융지주의 주가가 적정가를 회복하지 못하거나 시장 상황이 불안정할 경우 지분 매각을 내년으로 미룰 수 있다는 점을 내포한 것이다.
▲2019년 2월 이후 우리금융지주 주가 추이. |
문제는 현재 우리금융지주 주가가 정부가 추산한 이 회사의 적정 매각가인 1만2300원은 물론 프리미엄까지 고려한 최소한의 매각가(1만원대)도 하회한다는 점이다. 정부는 이미 2017년 IMM PE와 동양생명 등 7대 과점주주에 지분을 매각하면서 민영화의 성과는 상당부분 달성한 상태다. 즉 현재 주가 상태가 지속된다면 굳이 하반기에 서둘러서 지분 매각을 할 가능성은 낮다는 분석이다. 국내 한 증권사 관계자는 "과거에는 우리금융지주 주가를 시장가격보다 7~8% 낮추면서까지 민영화에 속도를 냈지만, 지금은 정부에서도 대외적으로 민영화를 상당 부분 완료했다고 공언하는 상황이다"며 "정부 입장에서는 굳이 현 주가 수준에서 지분을 매각할 필요가 없다"고 설명했다. 또 다른 투자은행(IB) 업계 관계자는 "연말에 예금보험공사가 우리금융지주로부터 받는 배당금까지 감안하면 공적자금 회수라는 큰 목표는 순항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며 "정부 입장에서는 금융주가 저평가를 해소하는 시기만 기다릴 것"이라고 설명했다.
실제 금융당국도 우리금융지주 매각 작업 시기와 관련해 ‘향후 3년 이내에 하겠다’는 큰 원칙은 변하지 않았다고 강조하고 있다. 하반기에 주가가 회복하면 언제든지 지분을 매각할 수 있지만, 2022년까지는 다소 시간이 있는 만큼 유동적으로 시기를 조절할 수 있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금융당국의 한 관계자는 "가격과 조건이 맞으면 하반기에도 언제든지 지분을 매각할 수 있다"며 "상반기냐, 하반기냐보다는 당초 공언한대로 3년 이내에 지분 매각을 완료하겠다는 근본 원칙이 흔들리지 않았다는 점이 더욱 중요하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