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연합) |
최근 코스피가 4거래일 연속 연고점을 경신하면서 채권에서 주식으로 전환하는 권리행사 건수가 전월보다 2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9일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지난달 전환사채(CB), 신주인수권부사채(BW), 교환사채(EB) 등 주식 관련 채권의 권리 행사 건수는 358건으로 6월(291건)보다 23% 늘었다
종류별로 보면 CB가 240건, BW가 93건으로 각각 15%, 18% 증가했다. 특히 EB는 25건으로 지난달(4건)보다 5배 이상 증가했다.
CB와 BW, EB 등 주식 관련 사채는 발행 시 정해진 행사가액 등 일정한 조건에서 발행회사의 주식 또는 발행회사가 담보한 다른 회사의 주식으로 전환이나 교환이 가능한 채권을 말한다.
투자자는 해당 주식의 주가가 상승하면 채권을 주식으로 바꾸는 권리 행사를 통해 차익을 실현한다.
앞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여파로 코스피 지수가 올해 최저점(종가 기준 1,457.64포인트)을 나타내는 등 증시가 불황이었던 지난 3월 주식 관련 사채 권리 행사 건수는 64건으로 1월(167건), 2월(160건)보다 급감했다.
이후 증시가 빠르게 회복하면서 주식 관련 사채 권리 행사 건수는 5월 224건, 6월 291건으로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다. 이달 7일 코스피는 전 거래일보다 9.06포인트(0.39%) 오른 2351.67로 마감하며 지난 2018년 9월 27일(종가 2,355.43) 이후 1년 10개월여 만의 최고가를 기록했다.
장중 한때는 2362.24까지 오르면서 2360선을 돌파하기도 했다.
이로써 코스피는 이달 4일 이후 4거래일 연속으로 장중 및 종가 기준 연고점을 갈아치웠다.
특히 지난달 CB 행사 건수가 많았던 금호에이치티(38건), 현대로템(11건) 등은 올해 3월 주가 평균치와 비교해 각각 41%, 97% 상승했다.
CB의 경우 기업 입장에서는 주식으로의 전환이 부채에서 자본으로 바뀌는 것을 의미하는 만큼 재무구조가 건전해진다는 장점이 있다.
다만 기존 주주들의 주식이 희석된다는 점에서 해당 종목에 단기적인 조정이 올 수 있다.
[에너지경제신문=나유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