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송두리 기자

dsk@ekn.kr

송두리 기자기자 기사모음




"코로나 재확산에 대면서비스 위축, 민간소비 회복 더뎌"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0.09.22 15:40

▲사진=한국은행.


[에너지경제신문=송두리 기자] 한국은행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재확산 영향으로 대면 서비스 등이 위축되며 민간소비 회복 속도가 예상보다 더뎌질 것으로 전망했다.

한은은 22일 공개한 ‘최근 소비 동향 점검 및 향후 리스크 요인’ 보고서에서 "코로나19 재확산에 따른 소비심리 회복 지연, 거리두기 일상화 등으로 숙박·음식·예술·스포츠·여가·교육 등 대면 서비스 회복이 상당 기간 늦춰질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대면 서비스 소비는 대외활동 제한에 직접 타격을 입는 데다 필수 지출이 아닌 재량적 지출 성격이 강해 다른 서비스보다 소비심리나 소득 불확실성 등에 큰 영향을 받는다고 한은은 설명했다. 실제 외환위기, 금융위기 등 경제 충격이 발생한 시기 때도 대면 서비스 소비는 다른 서비스 지출과 비교해 회복하기까지 오랜 시간이 걸렸다.

국외소비도 소비 회복의 발목을 잡을 잠재적 위험 요소로 지목했다. 국가 간 이동제한이 계속되고 여행심리 회복도 부진해 국외소비 위축 현상이 상당 기간 이어질 것으로 한은은 전망했다.

코로나19 이후 내국인 출국자 수가 90% 이상 급감하는 등 영향으로, 민간소비에 대한 국외소비 기여도는 전년 동기와 비교해 1분기 -1.1%포인트, 2분기 -2.8%포인트 등으로 하락 폭이 커지고 있다.

반면 코로나19로 늘어난 온라인·재택근무와 관련한 비대면 수요, 소비 위축에 따른 저축 증가 등은 민간소비 회복에 긍정적인 요소로 꼽혔다. 단 코로나19가 장기화해 소득 여건·심리 개선이 지연되면 이런 대체 소비 증가세도 제약될 것으로 봤다.

한은은 보고서에서 "대면 서비스, 국외소비, 대체 소비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면, 민간소비 회복세는 예상보다 더딜 것"이라고 예상했다.


송두리 기자 dsk@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