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국회 국정감사 때마다 지적하면 뭐하냐. 김종석 기상청장은 종합 국감 전까지 거취를 심사숙고해야 한다."
김성원 국민의힘 의원이 12일 열린 환경노동위원회의 기상청 국감에서 기상청장의 거취를 거론하며 비판의 수위를 높였다.
이날 개최된 국감에서는 여야가 한 목소리로 기상청을 질타했다. 올해 여름기상 예측이 크게 빗나간 것에 대해 비난의 화살이 쏟아졌지만 기상청 자체의 변화와 혁신이 필요하다는 우려 섞인 지적도 나왔다.
이날 국감 수감 태도와 사전 발표된 국감 보도자료를 통해 본 기상청은 그야말로 ‘진퇴양난’이었다. 기상 관측 장비 관리 부실과 저조한 국산화율, 기상관측 인력의 전문성 부족, 행정조직 체계 미비까지. 이러한 상황에서 예보인력마저 부족해 "기상청에서는 예보관들만 고생한다"고 말하는 의원도 있었다.
기상청은 이러한 상황에서 내부 청렴도 평가에서 2015년, 2016년, 2017년, 2019년 등 2018년만 빼고 4년 연속 최하등급인 5등급을 기록했다. 2019년 국무조정실의 정부업무평가 결과에서도 최하위 등급인 C등급을 받았다. 문제는 기상청이 잦은 예보 실패로 인해 붙은 ‘구라청’, ‘오보청’에 이어 이젠 ‘비리청’ 오명까지 얻었다는 점이다.
날씨는 일상생활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시민들에게는 아침에 우산을 챙길지 말지 고민하는 비교적 단순한 문제일 수 있다. 그러나 농업·어업 등 1차산업과 항공업 등 산업에 미치는 영향은 막대하다.
박대수 국민의힘 의원은 항공업계가 기상청 오보로 피해를 보고 있다고 주장했다. 박 의원은 "최근 3년 동안 기상청 오보로 항공사가 입은 손실액은 139억4500만 원"이라며 "오보로 인해서 하지 않아도 됐던 결항은 1449편이고, 피해 승객은 연간 10만 명"이라고 설명했다.
김종석 청장이 2년 2개월 전 취임 후 태풍 예보 정확도 향상 등 개선된 사안도 있다. 그러나 쇄신해야 할 과제는 여전히 산적해 있고, 이상기후는 날이 갈수록 늘어나고 있다. 기상청은 이상기후 탓만 하며 이대로 속수무책 당할 것인가.
김종석 청장은 취임사를 통해 "기후변화와 이상기후로부터 국민 안전에 앞장서는 기상청이 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며 "열린 자세로 폭넓게 소통해 내실 있는 성과를 창출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때의 그 다짐을 지금 되돌아 볼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