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일 나온 삼성전자 사장단 인사는 조직 쇄신보다 안정에 무게추를 두고 단행됐다는 게 재계의 일반적인 시각이다. 리더 교체나 깜짝 발탁 인사 대신 한종희 전 부회장의 갑작스런 별세 이후 흔들렸던 '2인 체제'를 다시 구축하는 데 방점을 찍었다는 이유에서다. 하버드대학교 교수를 영입하고 디바이스경험(DX) 부문 최고기술책임자(CTO)를 등용하는 등 '기술통'이 전면에 나섰다는 점도 주목된다. 삼성전자 2026년 사장단 인사의 핵심은 전영현 부회장과 노태문 사장의 위촉업무가 변경됐다는 점이다. 두 사람이 각각 디바이스설루션(DS)과 DX '양대 축'을 이끄는 리더가 되며 2인 체제가 다시 구축됐다. 인공지능(AI) 시대 반도체 업무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만큼 전 부회장은 자신의 전문성을 다시 한 번 입증한 모습이다. DS부문장, 메모리사업부장, SAIT원장 등을 겸직하던 전영현 부회장은 SAIT원장직을 내려놓고 다른 업무에만 집중하게 됐다. 일각에서는 앞서 '삼성전자 2인자'로 불리던 정현호 사업지원TF 부회장이 후배들에게 길을 터줬다는 점에서 전 부회장도 거취를 옮길 수 있다는 관측이 나왔었다. 회사 내부적으로 전 부회장을 대체할만한 적임자를 아직 찾지 못한 것으로 풀이된다. 전 부회장은 삼성전자를 대표하는 반도체 '기술통'이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에서 전자공학 석사·박사 학위를 받고 LG반도체를 거쳐 삼성전자에 입사했다. D램 개발실장, 플래시 개발실장, 메모리 전략마케팅팀장 등을 역임했다. 2014년에는 삼성전자 메모리사업부장에 올라 메모리 반도체 '초격차'를 이끌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모바일경험(MX) 사업부장으로 있다 DX부문장 직무대행으로 일하게된 노 사장은 '직무대행' 꼬리표를 떼어냈다. 특히 DX부문장으로 일하면서 MX사업부장 역할을 함께 수행하게 된다는 게 눈길을 끈다. 삼성전자 MX사업부는 반도체와 함께 회사 실적을 견인하고 있는 주력 업종이다. 매출만 놓고 보면 지난해 기준 117조3000억원을 벌어 DS(111조1000억원)보다 위에 있었다. 가전(56조5000억원)과 하만(14조3000억원) 사업부 등을 압도하는 수준이기도 하다. 이 때문에 재계에서는 노 사장이 DX부문장으로 거듭나면 지난 3월 승진한 최원준 MX사업부 최고운영책임자(COO, 사장)이 MX사업부장으로 올라설 수 있다는 관측이 나왔다. 삼성전자는 이번 인사를 통해 노 사장에게 '1인 2역'을 맡기는 결정을 내렸다. 전 부회장과 노 사장의 등기임원 임기 만료 시점은 2028년 3월까지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2인 대표이사 체제를 복원하고 핵심사업 경쟁력을 지속적으로 강화해 불확실한 대내외 환경 아래 경영안정을 도모하는 동시에 미래 기술을 선점하는 계기를 마련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삼성전자가 사장단 인사폭을 확 줄이면서도 석학 및 AI 전문가를 요직에 임명했다는 점도 눈여겨봐야 할 포인트다. 이날 삼성전자가 단행한 사장단 인사 규모는 총 4명으로 작년(9명)의 절반에도 못 미친다. 전 부회장과 노 사장에게 힘을 실어주며 '안정'을 꾀하면서 나머지 2명은 기술 인재로 채워넣었다. 윤장현 삼성벤처투자 대표(부사장)는 삼성전자 DX 부문 최고기술책임자(CTO) 사장 겸 삼성리서치장으로 승진했다. 윤 신임 사장은 MX사업부 IoT & Tizen개발팀장, S/W Platform팀장, S/W담당 등 보직을 역임했다. 지난해 말 삼성벤처투자 대표이사를 맡아 AI, 로봇, 바이오, 반도체 등 유망기술 투자를 주도해 왔다. 앞으로는 DX부문 CTO로서 모바일, TV, 가전 등 주력사업들과 AI, 로봇 등 미래 기술간의 시너지를 만들어 나갈 것으로 예상된다. 1968년생인 윤 신임 사장은 삼성전자 내 대표적인 기술통이다. 윤장현 사장은 2012년 인사에서 처음 임원에 올랐을 당시 나이가 43세였다. 윤 신임 사장이 젊은 리더십을 통해 조직에 새로운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가 나오는 배경이다. 박홍근 사장은 지난 1999년 하버드대 교수로 임용돼 25년 이상 화학·물리·전자 같은 기초과학과 공학 전반 연구를 이끌어 온 글로벌 석학이다. 앞으로 회사에서 나노 기술 전문성 및 학문간 경계를 뛰어넘는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양자컴퓨팅, 뉴로모픽반도체 등 미래 디바이스 연구를 주도할 예정이다. 재계에서는 박 교수를 사장 직급으로 신규 위촉한 것을 일종의 '파격 인사'로 본다. AI를 비롯한 미래 기술 개발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는 시기인만큼 기술 인재에게는 확실한 대우를 해준다는 회사 방침을 외부에 알리는 효과도 있을 것으로 분석된다. 삼성전자는 앞서 수시인사를 통해 올해 2명의 사장을 선임했다. 지난 3월 최원준 사장에 이어 4월에는 마우로 포르치니 DX부문 최고디자인책임자(CDO) 사장을 영입했다. 삼성전자는 조만간 부사장 이하 2026년도 정기 임원인사와 조직개편도 확정해 발표할 방침이다. 이후 관건은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등기이사로 복귀할지 여부다. 회사가 내년 2월 이사회에서 이 회장의 등기임원 복귀 여부에 대해 결정을 내릴 것이라는 예측이 나오고 있어서다. 재계에서는 이 회장이 '사법리스크'를 완전히 털어냈고 삼성전자가 또 한 번 도약을 위한 중대기로에 선만큼 다음 행보로 등기이사 복귀를 서둘러야한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다만 이 회장이 등기임원에 오를 경우 안정적으로 구축해 놓은 '2인 체제'에 균열이 생길 수 있다는 지적도 한쪽에서 나온다. 삼성벤처투자도 이날 이종혁 삼성디스플레이 부사장을 신임 대표이사 부사장으로 내정했다고 발표했다. 이 부사장 역시 1996년 삼성SDI 기초연구LAB 책임연구원으로 입사한 기술 전문가다.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선행기술팀장, 삼성디스플레이 퀀텀닷(QD) 개발팀장 등을 거쳐 삼성디스플레이 대형디스플레이사업부장으로 QD-OLED 사업을 총괄하고 있다. 오일선 CXO연구소 소장은 “이번 삼성전자 사장단 인사의 큰 특징은 '안정 속 변화'와 '기술의 삼성 강화'로 요약할 수 있다"며 “향후 단행될 부사장급 이하 인사에서는 미래를 이끌어갈 젊은 인재와 외부 영입 인재들이 많이 나올 것"이라고 내다봤다. 여헌우 기자 yes@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