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LNG 콘크리트믹서트럭 및 LNG 충전소 전경. |
26일 업계에 따르면 한국가스공사는 최근 대형 LNG·수소 화물차 보급 활성화를 위한 최적의 사업모델 개발에 착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세계적으로 미세먼지 감축과 탄소중립 등 친환경 정책의 확대에 따라 환경오염물질 배출량이 높은 화물차 분야에서도 친환경 에너지 연료인 천연가스, 수소 사용에 대한 요구가 크게 대두되고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가스공사에 따르면 현재 소형 화물차는 전기·수소와 같은 친환경 연료로의 전환이 속속 이뤄지고 있으나 중대형 화물차는 경제적, 기술적 문제 등으로 전환이 더딘 실정이다.
특히 중대형 화물차량은 친환경 연료 전환에 따른 비용 증가로 인해 정부 지원이 동반되더라도 승용차 시장과 달리 단기간에 실구매까지 이어지기는 어려운 것으로 분석된다.
이에 가스공사는 초기 민간의 진입 장벽이 높은 친환경 대형 화물차 시장을 활성화하고 이를 통해 향후 추진 예정인 공사 충전소 구축사업의 경제성 확보를 위해 이번 사업모델 개발 연구에 착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연구에서 공사는 각 연료별(LNG, 수소) 차량이 보급될 수 있는 최적의 사업모델 개발에 나선다. 사업모델은 공사의 직접투자 방식과 함께 민간주도 방식 사업모델 발굴도 이뤄진다.
사업모델 개발을 위한 충전소 활용 시에는 기존 충전소(수소, LCNG)를 이용하거나 신규 충전소 구축계획도 함께 수립한다.
특히 공사 사업모델 개발 시 공급자 관점이 아닌 실 구매자(지입 차주 및 운송사) 입장에서 접근, 실현 가능한 점에 중점을 두고 개발할 방침이다.
현재 LNG 트랙터의 경우 정부 보조금 부재로 차량가격이 경유 대비 4000만 원 이상 고가인 상황이다. 이러한 점을 고려해 소비자로 하여금 차량 구매 부담을 완화할 수 있는 사업모델을 개발할 방침이다. 또한 지역별(부산신항, 광양항, 포항신항, 의왕ICD 등), 용도별(컨테이너, 철제, 벌크 등) 특성을 반영한 사업모델 개발을 추진한다.
LNG 믹서트럭은 올해부터 정부의 차량 구매보조금이 지급된다. 이 같은 상황을 반영해 LNG 믹서트럭이 연도별(올해 20대, 내년 50대 이상) 보급목표가 달성될 수 있는 민간 협력 사업모델 개발에 나설 방침이다.
수소 화물차는 차량구매보조금 지급이 예상되지만, 아직까지 확정된 바 없다. 이로 인해 주요부품인 연료전지 스택(Stack)의 내구성 및 보증기간 만료에 따른 고가의 교체비용 문제가 발생하는 실정이다. 이러한 점이 보급의 걸림돌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이를 상쇄할 수 있는 수소 화물차 사업모델 개발이 이뤄질 전망이다.
이와 함께 △대형 화물차(25톤 이상 화물차, 트랙터, 믹서트럭) 시장 및 운행 특성 조사 △국내외 친환경 물류정책 동향 및 관계법령 조사 △친환경(천연가스, 수소) 대형 화물차 수요조사 △개발된 사업 모델의 법령 저촉여부 조사 △단기 및 중장기 전략 제시 △경제성 분석 작업 등이 이어질 예정이다.
한국천연가스수소차량협회에 따르면 LNG 화물차의 경우 차대동력계 및 실주행(PEMS) 평가 결과 경유 화물차 대비 PM 100%, NOx 96%, 이산화탄소 19%의 오염물질 저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도로이동오염원 중 미세먼지 배출 기여도는 화물자동차 68.9%, RV 21.8%, 승합차 4.1%, 버스 2.1% 순이다. 화물차 중에서도 대형화물차 48.6%, 소형화물 20.9%, 중형화물 19.7%, 믹서 1.3%를 차지하고 있다.
youns@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