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태평양에 속한 기업들이 자연환경 리스크에 크게 취약한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한국 기업들의 경우 자연환경에 대한 의존도가 아태지역 상위권에 속한 것은 물론, 일본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연환경 리스크를 주목하는 글로벌 투자자들의 비중이 커지고 있어 환경 리스크가 현실화하거나 환경 규제 도입이 급물살을 탈 경우 기업가치가 쪼그라들 가능성도 제기된다.
기후변화와 관련한 아시아투자자그룹(AIGCC)이 24일(현지시간) 발표한 '아시아태평양 경제의 자연 리스크'란 보고서에 따르면 아태지역 총부가가치(GVA, Gross Value Added)의 53%(18조 달러)가량이 자연환경에 대한 의존도가 매우 높거나 중간 수준인 것으로 조사됐다. 아태 경제가 비옥한 토양, 담수, 수분, 기후 안정성 등에 크게 의존하는데 이들 모두 감소추이를 보이고 있다고 보고서는 덧붙였다. 생물다양성 훼손, 환경 오염 등도 자연환경 리스크로 거론됐다.
AIGCC는 지난 2016년 기후 변화 및 탄소배출 문제 등에 공동 대응하고자 만들어진 글로벌 연기금 및 운용사의 협의체로, 아태 지역의 연기금 및 운용사 등을 대상으로 한다. 운용자금은 35조 달러에 이른다.
보고서에 따르면 농업, 건설업, 어양 및 양식업, 식품업, 임업 등이 리스크에 가장 취약한 섹터로 지목됐으며 이들 규모는 아태지역 총부가가치의 20% 수준인 7조 달러에 달한다. 이는 세계 평균인 16%보다도 높은 수준이기도 하다.
또 총부가가치의 33% 가량인 11조 달러는 자연환경 익스포져(위험노출)가 중간 수준인 것으로 조사됐고 여기엔 에너지업, 제조업, 서비스업 등이 해당됐다.
보고서는 특히 아태 증시의 58% 가량은 자연환경에 대한 의존도가 최소 중간 수준인 것으로 나타나는 등 기업들이 자연환경 리스크에 더 취약하다고 지적했다.
아태 지역 14개국 중 가장 취약한 증시는 뉴질랜드로 시가총액 42%가 의존도 높음, 33%가 의존도 중간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뉴질랜드 상장사 75%가 자연환경 리스크에 직면했다는 의미다.
대만 증시가 총 73%로 뉴질랜드 뒤를 이었고 한국이 71%로 3위를 차지했다. 한국의 경우 의존도 높음에 속한 시총 비중은 전체 대비 21%에 불과했지만 의존도 중간에 속한 비중은 50%로 나타나면서 14개국 중 가장 높았다.
일본의 경우 총 64%로 6위를 차지했고 의존도 높음, 중간을 차지한 시총 비중은 전체 대비 각각 18%, 46%로 모두 한국을 밑돌았다. 한국 기업들이 일본보다 자연환경 리스크에 더 취약한 셈이다.
AIGCC의 모니카 배 이사는 “세계 경제는 건강한 생태계에 크게 의존하고 있고, 아태지역도 예외가 아니다"며 “자연환경과 관련된 리스크는 결코 무시할 수 없는 리스크"라고 꼬집었다.
이런 가운데 2022년 개최됐던 제15차 생물다양성협약 당사국총회(COP15) 이후 자연환경 리스크를 주목하는 투자자들이 늘어나고 있다고 블룸버그통신은 짚었다. COP15 당시 196개 참가국은 오는 2030년까지 전 세계 육지와 해안, 해양의 30%를 보호구역으로 정해 관리한다는 목표에 만장일치로 합의한 바 있다.
배 이사는 또 “신규 산림벌채지에서 생산된 상품의 수입을 금지한다는 유럽연합의 신규 법안 등 정부 규제도 투자자의 관심을 높이는 데 기여했다"고 블룸버그에 말했다.
이에 따라 환경 리스크에 직면한 기업들은 투자처로서 매력도가 떨어질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투자자들이 포트폴리오를 구축하는 데 있어서 아태 상장사 58%가 재검토 대상이 될 수 있다는 의미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6000억달러 넘게 운용하는 매뉴라이프 인베스트먼트 매니지먼트의 에릭 닛치 지속가능성 투자 총괄은 산림훼손과 생물다양성 리스크 등을 거론하면서 기업투자를 재검토했다고 밝혔다. 리스크 적용으로 기업 공정가치가 조정됐다는 설명이다.
이어 “환경 규게가 강화되자 각 기업에 타격을 입힐 수 있는 리스크를 찾고 있다"며 “이러한 리스크들이 기업의 신용 또는 주식 가치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평가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지목된 리스크로는 공급망 차질, 실적 감소, 운영권 상실, 신용등급 강등, 소송 및 벌금 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