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04월 19일(금)
에너지경제 포토

여헌우

yes@ekn.kr

여헌우기자 기사모음




[K-반도체 승부수]①민관 ‘K-벨트’ 만들어 글로벌전쟁 대항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1.05.13 15:30

‘K-반도체 전략 보고대회’···종합 반도체 강국 실현 전략 발표



삼성·SK 등 기업 10년간 510조 투자···정부 세액공제 등 혜택 제공

20210513012552_AKR20210513017200003_08_i

▲정부가 구상한 ‘K-반도체 벨트’ 개념도

[에너지경제신문 여헌우 기자] 글로벌 시장에서 ‘반도체 전쟁’이 벌어지고 있는 가운데 각종 불확실성에 대비하고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 정부와 민간이 손을 맞잡는다. 종합 반도체 강국 실현을 위해 기업들이 과감한 투자를 통해 ‘K-반도체 벨트’를 조성하고 정부가 각종 혜택을 제공해 이를 적극 지원하는 게 골자다. 이를 위해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기업들은 10년간 510조원 이상을 투자한다. <관련기사 3면>

정부는 13일 삼성전자 평택캠퍼스에서 ‘K-반도체 전략 보고대회’를 열고 종합 반도체 강국 실현을 위한 전략을 발표했다. 반도체 제조부터 소재·부품·장비(소부장), 첨단장비, 설계(팹리스) 등을 아우르는 반도체 제조 인프라를 만들겠다는 게 정부의 목표다.

정부가 구상한 K-반도체 벨트는 판교와 기흥·화성·평택·온양의 서쪽, 이천·청주의 동쪽이 용인에서 연결돼 실제 ‘K자’ 모양을 지녔다. K-반도체 벨트의 규모는 총 1388만 4297m², 입주기업 수는 208개에 이른다. 매출 기대효과는 122조원이다.

일단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를 비롯해 벨트 내 지역별로 제조, 소부장, 첨단장비, 패키징, 팹리스 관련 기업들이 들어서거나 이미 있는 곳은 투자를 늘린다. 판교 부근에는 ‘한국형 팹리스 밸리’가 새로 만들어진다.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기업들이 적극적으로 움직여 마중물 역할을 하기로 했다. 국내 기업들은 올해 41조 8000억원을 시작으로 2030년까지 10년간 누적으로 510조원 이상을 쏟을 계획이다. 이들 기업의 올해 투자 계획은 단일산업 중 역대 최대 수준이다.

이날 행사에서 삼성전자는 평택 파운드리, SK하이닉스는 용인 소부장 특화단지, 네패스는 첨단 패키징 플랫폼, 리벨리온은 판교 팹리스 밸리에 관한 투자 계획을 각각 밝혔다. 특히 SK하이닉스는 지금보다 2배 수준의 8인치 파운드리 생산능력 확보도 검토 중이라고 전해진다.

외국인투자기업 유치도 확대한다. 극자외선(EUV) 노광, 첨단 식각 및 소재 분야 등에서는 국내에서 단기간 내 기술력 확보가 힘들기 때문이다. 첨단 EUV 장비를 독점 공급하는 네덜란드 ASML은 화성에 2400억원 규모의 교육훈련센터를 짓기로 하고 이날 투자 협약식을 진행했다. 세계 3위 반도체 장비업체인 미국의 램 리서치는 생산 능력을 2배로 증설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부지를 물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기업들의 ‘통큰 투자’에 힘을 실어주기 위해 정부는 세제 감면 등 혜택을 적극적으로 제공한다. 당장 기업 대상 세액공제 중 ‘핵심전략기술’ 트랙을 신설해 반도체 R&D에 최대 40∼50%, 반도체 시설투자는 최대 10~20% 공제해주기로 했다. 올해 하반기부터 2024년까지 투자분이 적용된다. 현재 반도체 R&D 세액 공제는 대기업이 최대 30%, 중소기업은 최대 40%다. 시설투자 세액공제는 대기업의 경우 3%에 불과하다.

금융지원도 함께 늘린다. 총 1조원 이상의 ‘반도체 등 설비투자 특별자금’을 신설해 우대금리로 설비투자를 지원한다.

반도체 제조시설에 필수적인 용수 공급을 위해 용인·평택 등 반도체 단지의 10년 치 용수 물량을 확보한다. 반도체 관련 전력 인프라는 정부와 한전이 최대 50% 범위에서 공동 분담해 지원하기로 결정했다.

저문 인력도 양성한다. 반도체 관련 산업인력을 향후 10년간 3만 6000명을 육성하기로 했다. 반도체 관련학과 정원을 확대해 1500명을 배출하고, 반도체 장비 기업과 연계해 5개교에 계약학과를 신설, 학사 인력 1만 4400명 등을 양성할 계획이다.

정부는 ‘K-반도체 승부수’가 통할 경우 연간 반도체 수출이 지난해 992억달러(약 112조원)에서 2030년 2000억달러(약 226조원)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고용인원은 총 27만명 수준으로 늘어날 것이라는 게 정부의 기대다.

문승욱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반도체 공급난이 심화하고 국제 정세가 급변하는 엄중한 시기에 이번 전략을 만들었다"며 "우리나라가 글로벌 반도체 수요에 대응하는 안정적인 반도체 공급 기지가 된다면 글로벌 반도체 공급망을 주도할 수 있다"고 말했다.


yes@ekn.kr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