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건축자재에 대한 화재안전성 규제가 강화되자 불에 안 타는 무기질 단열재 시장이 각광받고 있다. KCC의 그라스울과 벽산의 그라스울 이미지. 각 사 |
29일 건자재업계에 따르면 KCC와 벽산 등은 무기단열재인 그라스울 생산설비 증설에 나섰다. 본래 단열재는 보온을 하거나 열을 차단할 목적으로 쓰는 재료다. 크게 유기단열재와 무기단열재로 나뉘는데 유기단열제는 우레탄폼, 비드법 보온판, 압출법, 보온판 등이 있다. 무기단열재로는 그라스울, 미네랄울, 펄라이트 등이 포함된다.
일반적으로 스티로폼으로 잘 알려진 비드법 단열재가 유기단열재로 잘 쓰인다. 제품이 저렴하고 현장 가공이 쉽고 단열성능이 높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 다만 정부가 건축법 개정안을 마련해 건축물 내외벽 마감재료, 단열재, 복합자대 등 준불연(700℃에서 10분 동안 버티는 능력) 성능 이상의 자재 사용을 의무화했다. 이에 따라 기존 스티로폼 등 패널에서 난연 성능이 뛰어난 그라스울 패널 등으로 교체됐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건자재업계 중에 KCC와 벽산이 관련 자재 증설에 나섰다. 먼저 KCC는 지난 8월 김천일반산업단지에 위치한 김천공장에서 신규 그라스울 2호기 가동을 알린 바 있다. 이 때 증설한 그라스울 2호기는 단일 생산 라인으로는 국내 최대 규모로 연간 약 4만8000t의 생산능력을 갖춰 하루에 160여t의 제품 생산이 가능하다.
KCC가 생산하는 그라스울은 규사 등 유리 원료를 고온에서 녹여 만든 무기 섬유를 울(Wool)과 같은 형태로 만든 후 롤과 보드, 패널, 커버(보온통), 매트 등 다양한 형태로 성형한 제품이다.
KCC 관계자는 "증설을 통해 그간 공급부족이 우려됐던 무기단열재 시장에 제품 수급 활로가 트일 것으로 보인다"며 "화재 안전성에 취약한 유기단열재 시장을 빠르게 대체해 나갈 것으로 전망된다"고 설명했다.
벽산 역시 2년 전부터 강화된 건축법의 본격 시행으로 인해 무기단열재 그라스울 생산설비 증설에 나섰다. 익산공장과 여주공장 등 그라스울 신규 생산라인을 완료하고, 지난해 영동공장 미네랄울 2호기 증설로 연간 13만t 규모 무기단열재 생산시설을 구축했다.
여기에 지난달 홍성공장에서도 무기단열재 그라스울 생산설비 증설을 위해 1100억원 투자를 진행하며 연간 20만t 무기질 단열재 생산능력을 갖추게 된 것이다.
벽산 관계자는 "급변하는 무기단열재 시장 상황에 적극적으로 대처하며 입지를 더욱 확고히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무기단열재 시장은 증권가에서도 주목하고 있다. 정경희 키움증권 연구원은 "건자재 부문은 석고보드로 대표되는 내장재, 그라스울의 단열재, PVC 창호 등으로 구성되는데 단열재는 제반 법규 강화로 기존의 유기단열재에서 무기단열재로 시장이 이동하는 상황이다"며 "이에 따라 KCC는 현재의 증산 및 증설을 감안할 때 내년 단열재 매출액과 수익성 성장이 예상된다"고 분석했다.
안주원 DS투자증권 연구원은 "현재 그라스울은 높은 판매단가 수준이 유지되고 있으며, 건설경기가 좋지 않음에도 무기단열재 사용을 의무화함에 따라 견조한 판매 흐름이 이어지고 있다"며 "벽산은 그라스울 홍성2공장 가동 효과로 분기 최고 매출액을 달성할 전망이다"고 강조했다. kjh123@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