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11월 23일(토)
에너지경제 포토

안효건

hg3to8@ekn.kr

안효건기자 기사모음




이·하 전쟁 휴전, 바이든 “하마스만 장애물” 했지만...네타냐후 “그게 다 아냐”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4.06.04 08:04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AP/연합뉴스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AP/연합뉴스

미국이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만 휴전안을 수용하면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종식이 가능하다고 강조하는 가운데, 정작 맹방 이스라엘은 미적지근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백악관은 보도자료를 통해 조 바이든 대통령이 3일(현지시간) 카타르의 셰이크 타밈 빈 하마드 알사니 군주(에미르)와의 통화에서 휴전안 관련 입장을 밝혔다고 전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특히 “완전한 정전과 가자지구 주민들을 위한 구호를 막는 유일한 장애물은 이제 하마스뿐"이라고 강조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이스라엘이 하마스에 제시한 조건을 이행할 준비가 됐고, 미국이 이집트, 카타르와 함께 완전한 전체 합의 이행을 보장하기 위해 함께 노력하겠다는 입장을 확인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지금이 합의할 최선의 기회라고 강조하며 하마스가 계속 인질 석방을 거부하면 분쟁을 이끌고 가자 주민을 위한 구호를 막을 뿐이라고 지적다.




아울러 타밈 군주에게 하마스가 휴전안을 받겠끔 모든 적절한 수단을 활용할 것을 촉구했다.


두 정상은 휴전안이 가자 위기를 끝낼 구체적인 로드맵을 제시한다는 데 입장을 같이했다.


앞서 바이든 대통령이 지난달 31일 공개한 휴전안은 △ 6주 동안 완전한 정전과 이스라엘군의 모든 인구 밀집 지역 철수 및 일부 인질 교환 △ 모든 생존 인질 교환과 이스라엘군의 가자지구 철수를 비롯한 영구적 적대행위 중단 △ 가자지구 재건 시작과 사망한 인질 시신 송환 등 3단계로 구성됐다.


이와 관련, 존 커비 백악관 국가안보소통보좌관은 이날 브리핑에서 “우리는 하마스의 공식 응답을 기다리고 있다. 그들은 휴전안을 받아들여야 한다. 이것은 그들이 원했던 것들을 준다"고 말했다.


하마스는 지난달 31일 성명을 통해 휴전안을 긍정적으로 보고 있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그러나 정작 선택의 기로에 놓인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는 공개된 휴전안이 전부가 아니라며 다소 거리를 두고 있다.


데이비드 멘서 이스라엘 정부 대변인은 이날 “네타냐후 총리가 '바이든 대통령이 제시한 휴전안의 개요는 일부분이며 전쟁은 인질 송환을 목적으로 중단돼야 한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이어 “(인질이 돌아온 뒤) 이스라엘의 목적인 하마스 제거를 어떻게 달성할 것인지 논의가 뒤따를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바이든 대통령 휴전안 공개 뒤 네타냐후 총리는 내각 극우파로부터 인질 송환을 위해 하마스 제거를 포기하고 전쟁을 끝내려 한다는 거센 비판을 받았다.


이후 네타냐후 총리는 하마스 군사와 통치 역량 제거, 모든 인질 석방 등 전쟁 종식을 위한 이스라엘 조건은 바뀌지 않았다고 연이어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이스라엘 연정 내부 극우파는 여전히 하마스를 제거하지 않고 전쟁을 끝내는 협상을 체결하면 연정을 무너뜨리겠다며 반발하고 있다.


로이터 통신은 이타마르 벤-그비르 국가안보장관이 이날도 바이든 대통령이 추진하는 가자지구 휴전 협상을 네타냐후 총리가 숨기고 있다고 비난하며 연정 붕괴 위협을 반복했다고 전했다.


베잘렐 스모트리히 재무장관도 “바이든 대통령이 말한 위험한 제안은 전쟁 내각이 불법적으로 권한을 벗어나 제안한 것으로 이스라엘은 이에 구속되지 않는다"고 반발했다.


그러면서 하마스에 대한 군사적 압박 강화만이 유일한 해법이라고 재차 강조했다


한편, 네타냐후 총리는 오는 13일 미국 의회에 나서 연설할 예정이다.


앞서 미국 상·하원 지도부는 네타냐후 총리에게 상·하원 합동연설에 공식 초청하는 서한을 보냈고 네타냐후 총리는 지난 1일 이를 수용했다.


네타냐후 총리가 이번에 연설하면 외국 지도자가 미국의회에서 4번 연설한 첫 사례가 된다.


다만 바이든 대통령은 연설 일자에 이탈리아에서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에 참석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네타냐후 총리와 바이든 대통령간 별도 회동은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