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11월 22일(금)
에너지경제 포토

이찬우

lcw@ekn.kr

이찬우기자 기사모음




‘배터리 삼국지’서 中에 밀리는 韓·日, 단가 싸고 출력 6배 ‘46파이’로 승부수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4.09.11 14:47

지난 2분기 中 CATL·BYD 글로벌 점유율 상승…韓·日은 하락

韓·日 46파이 배터리 개발 총력, LG엔솔·파나소닉 양산 목전

삼성SDI의 원통형 배터리.

▲삼성SDI의 원통형 배터리.

한중일 '배터리 삼국지' 양상에서 중국의 상승세가 더 게세지자, 한·일이 '46파이' 양산이라는 새로운 승부수를 던졌다. 중국이 주력으로 삼는 LFP(리튬인산철)배터리가 주목받자 한국과 일본 업계는 중국이 하지 않는 차세대 배터리에 집중하는 대응책을 내놓은 것. LFP 보다 효율적이고 안전한 '46파이' 배터리 양산이 중국의 무차별 공세를 뚫어낼 '신의 한 수'가 될지 글로벌 배터리 업계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11일 에너지시장 조사 업체 SNE리서치에 따르면 중국 배터리 업체 CATL과 BYD는 지난 2분기 글로벌 전기차용 배터리 시장에서 상승세를 기록했다. 반면 한국과 일본 기업들은 점유율 하락을 면치 못했다.


지난 2분기 가장 높은 점유율을 기록한 곳은 CATL이다. CATL은 점유율을 전분기 29.8%에서 2분기 31.6%로 확대했다. 같은 기간 중국의 BYD(비야디)도 11.1%에서 11.9%로 점유율 확대에 성공하며 3위에 올랐다.


출하량 기준 점유율로는 중국 CATL과 BYD가 각각 35.9%, 16.5%로 1위와 2위를 나란히 차지했다. 두 회사 합산 점유율은 52.4%를 기록했다.


반면 한국 배터리 3사(LG에너지솔루션·삼성SDI·SK온)는 하향곡선을 그렸다. LG에너지솔루션은 2위를 지켰으나 점유율은 16%에서 14.7%로 줄었다.




삼성SDI와 SK온도 각각 4, 5위 자리는 지켰지만 점유율은 하락했다. 삼성SDI는 9.3%에서 7.1%로, SK온은 5%에서 4.3%로 점유율이 떨어졌다. 10위권에서 유일한 일본 업체인 파나소닉은 4.3%에서 3.1%로 점유율 하락을 기록했다.


이에 대해 SNE리서치는 “다수의 메이저 OEM들의 LFP 채택 비중이 늘고 있고, 안정된 공급망과 규모의 경제를 갖춘 중국 배터리 업체들의 점유율은 더욱 상승하고 있다"며 “현 상황으로는 LFP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중국 업체들의 점유율이 지속적으로 상승할 것으로 분석된다"고 설명했다.


또 “우수한 기술력 등으로 경쟁력을 확보해야 점차 국내 3사의 점유율이 회복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에 한국과 일본기업은 차세대 제품이라 불리는 '46파이' 배터리 양산에 집중하고 있다. 46파이 배터리는 지름이 46㎜인 원통형 제품을 의미한다.


기존 주력 제품이던 2170 원통형 배터리(지름 21㎜·높이 70㎜) 대비 부피당 에너지 밀도는 4배, 출력은 6배 향상된 것이 특징이다. 기존 배터리 대비 대량 생산이 용이하고 단가도 저렴해 완성체 업체들의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LG엔솔은 지난해 오창공장에 4680(지름 46㎜·높이 80㎜) 배터리 양산을 위해 5800억원을 투자해 설비를 구축했고 올해 하반기 중으로 양산을 시작할 계획이다.


LG엔솔은 지난 7월 실적 발표서 “하반기 원통형 신규 제품인 46시리즈의 본격적인 양산이 예정돼 있다"며 “확보한 고객사 외에도 다수의 기업들과 공급 협의 중이며 현재 증설 중인 미국 애리조나 공장에서도 공급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삼성SDI도 46파이 배터리 개발에 적극적이다. 삼성SDI는 지난 7월 컨퍼런스콜에서 “46파이 배터리 개발, 양산 준비는 차질없이 진행되고 있다"며 “최근 마이크로 모빌리티형 프로젝트를 확보해 내년 초부터 양산에 돌입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일본 파나소닉은 양산 준비를 마쳤다. 업계에 따르면 파나소닉은 일본 와카야마현의 서부에 있는 자사 공장에서 4680 배터리를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는 준비를 마쳤다. 파나소닉이 네바다 공장에 이어 캔자스에 건설 중인 새 공장이 내년부터 가동될 예정이다.


LG엔솔과 파나소닉의 46파이 배터리는 테슬라 차량에 탑재될 예정이다.


삼성SDI 관계자는 “오랜 기간 축적해온 에너지 밀도, 급속 충전 등 차별화된 기술력을 바탕으로 46파이 배터리 등 전기차용 시장에서 단기간 내에 가시적인 성과를 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