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09월 17일(화)
에너지경제 포토

최석영

sychoi66@ekn.kr

최석영기자 기사모음




[데스크 칼럼] '2030세대'의 표심을 잡고 싶다면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1.11.14 09:57

에너지경제 최석영 산업부장(부국장)

KakaoTalk_20211113_182813306
최근 2030세대(MZ세대)을 향한 정치권의 구애가 한창이다.

그동안 ‘N포세대(여러가지를 포기해야 하는 세대)’라고 불리며 변방에서 설움만 받던 이들이 역대급으로 박빙의 승부가 예상되는 2022년 대선의 ‘캐스팅보터’로 떠올라서다.

이들의 선택을 받지 못하면 대통령의 꿈도 접어야 하는 상황이다.

2030세대는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국면에서 촛불을 들었고, 지난 2017년 제19대 대선(문재인 대통령 당선)과 2018년 전국동시지방선거, 2020년 제21대 총선 등 전국 선거에서 여당인 더불어 민주당이 3연승을 거두는데 든든한 지지 기반의 한 축으로 역할을 다했다.

그러나 올해 ‘4·7 서울시장 보궐선거’에서 MZ세대는 이전과 정반대의 편에 섰다.

‘조국 사태’와 ‘인국공 사태(인천국제공항 비정규직의 정규직화)’ 등 공정 훼손과 ‘내로남불’에 분노해서다. 문재인 정부의 부동산 정책 실패로 아파트값이 치솟으면서 내집 마련 희망을 앗아간 것도 이들의 이탈에 큰 몫을 했다. 실제 서울시장 보궐선거의 지상파방송 3사 출구조사를 보면, 오세훈 국민의힘 후보에게 20, 30대는 각각 55.3%와 56.5%로 과반이 넘는 표를 몰아줬다. 60대 이상은 야당 지지, 40대는 여당 지지로 양분된 상황에서 이들의 선택이 오세훈 서울시장 당선을 결정지은 셈이다.

이 흐름은 2022년 대선에서도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때문에 여야 대선 후보로 선출된 이재명 후보와 윤석열 후보는 청년을 위한 공약 개발, 소통 강화 등을 통해 MZ세대의 마음을 사로잡기 위해 부심 중이다.

이들의 표심을 잡으려면 먼저 그들을 이해하는 게 가장 중요하다. 1980년대 초~2000년대 초 출생한 밀레니얼 세대와 1990년대 중반~2000년대 초반 출생한 Z세대를 통칭하는 말이다. 1997년 IMF사태 이후 우리 경제, 사회의 주류로 자리잡았던 ‘신자유주의’ 풍조 속에서 학교를 다녔고, 이에 집단보다는 개인의 취항을 중시하며, 미래보다는 현재를, 가격보다는 취향을 중시하는 성향을 가진 이들이 많다.

이들은 특히 ‘공정’에 민감한데 고등학교 시절에 열심히 공부해도 좋은 대학에 가지 못하고, 대학에서 열심히 공부해도 실업자가 될 수 있고, 직장에서 열심히 일해도 알바나 계약직으로 전락하는 등 안 좋게 풀릴 확률이 훨씬 높아서라는 게 사회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이 부분을 이재명, 윤석열 후보 모두 눈 여겨 봐야 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지금까지 두 후보가 내놓은 ‘2030 공약’을 보면 미래에 빚이 될 부담을 앞당겨 쓰는 ‘조삼모사’식 공약이 대부분이다.

두 후보는 2030세대를 겨냥한 공통공약을 보면 가상화폐 과세 유예·현금성 지원·저렴한 주택 제공 등으로 유사하다. 2030에 대한 근본적인 고민 없이 눈앞에 닥친 문제를 해결해 줄께 표를 달라는 마케팅으로 보인다.

반면 청년층의 안정적인 일자리 마련을 위한 노동개혁이나 국가 채무와 관련한 연금개혁, 비대한 사교육 시장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교육개혁 등 국가 백년대계를 위한 고민이 담긴 공약은 눈에 보이지 않는다.

국가채무 문제나, 국가재정준칙 적용 등은 2030세대가 우리 사회 중심세력으로 부상했을 때 가장 큰 부담이 우려되는 중요한 문제인데 복잡하고 당장 피부에 와 닿지 않는다는 이유로 외면하고 하는 것이다.

현재 상황이라면 두 후보에 실망한 2030세대가 자칫 대거 투표를 포기할 수도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대선 승리 여부를 떠나 진정하게 2030세대를 위한, 대한민국 미래를 위한 공약을 고민하고 제시하는 자가 ‘대통령의 자격’이 있는 것은 아닐까.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