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김연숙

youns@ekn.kr

김연숙기자 기사모음




서울·인천·부산·세종·전북·경남에 수소버스 400대 보급 착수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3.04.03 11:28

지자체·수소공급사·충전소사업자·운수사 컨소시엄 구매지원 시범사업자 선정
인천 130대 가장 많아…제조사 생산일정·수소 수급상황 고려, 순차적 보급

111

▲울산에서 운행 중인 수소전기버스.연합뉴스

[에너지경제신문 김연숙 기자] 서울, 인천, 부산, 세종, 전북, 경남 지역에 올해 총 400대의 수소버스가 순차적으로 보급된다. 수소버스 보급 의지가 강한 이들 지자체와 수소공급사·충전소사업자·운수사 등으로 구성된 6개 컨소시엄이 시범보급 사업자로 최종 선정됐다.

4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올해 처음 시행하는 ‘수소연료전지시스템 구매지원 시범사업’ 수행 사업자로 총 6개(서울, 인천, 부산, 세종, 전북, 경남) 컨소시엄이 선정됐다.

지난해 시작된 공모에 총 8개 지자체가 총 705대(저상 363, 고상 342) 수소버스 보급을 위한 시범사업 공모에 참여했으나 보급 의지가 높은 6개 지자체가 최종 선정됐다.

지자체별 선정 대수를 살펴보면 인천이 130대(저상100, 고상30)로 가장 많다. 이어 전북 75대(저상50, 고상25), 부산 70대(저상40, 고상30), 세종 45대(저상 45), 경남 40대(저상 25, 고상15), 서울 40대(저상 40) 순이다.

이번 시범사업은 수소버스 400대(저상300, 고상100)의 연료전지시스템 교체비용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지원금은 대당 7000만원, 약 280억 원 규모다.

연료전지시스템은 수소를 이용해 전기에너지를 만드는 장치로 내연기관 자동차의 엔진과 같은 역할을 한다.

공모에 선정된 지자체는 수소버스의 보증기간을 기존 5년 50만km에서 9년 90만km까지 연장 받게 된다.

이번 시범사업은 지자체에 대한 적극적인 참여 유도 및 책임 부여를 위해 기존 친환경차 보조사업과 달리 지자체가 컨소시엄을 구성, 신청하는 공모형식으로 진행됐다.

컨소시엄에는 광역·기초 지자체, 수소 공급사, 충전소 사업자, 버스운수사 등이 참여했다.

지자체 선정에는 대규모 수소 수요 발생을 고려해 수소생산, 충전기반, 버스 보급일정 등이 중점적으로 검토됐다. 수소경제 초기에 발생할 수 있는 수소 수급 불안에 효과적인 대응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다.

현재 수소차 1대당 연간 수소 소비량은 수소승용차 150kg, 수소버스 6.2톤 규모다.

이번 사업을 통해 연료전지시스템에 대해 성능기준이 부여될 예정이다. 연료전지 스택의 출력 및 에너지 소비효율에 대한 기준을 제시함으로써 국산화율을 제고한다는 방침이다.

또 사용 후 연료전지시스템 재사용·재처리 전담기관이 설치된다. 2026년 이후 발생하는 대량의 연료전지를 시험·평가할 인증기관이 필요하다는 판단에서다.

보조사업 집행뿐만 아니라 폐연료전지 산업에 대한 표준화·인증체계 구축 등이 이어질 전망이다.

산업부 관계자는"이번 수소버스 시범사업은 수소상용차 시장 확대 및 수송부문 온실가스 감축 뿐만 아니라 대규모 수소 소비처 발굴을 통한 수소생태계 확장, 대중교통 수단에 대한 수소 적용으로 수소 안전성 홍보 등 수소사회 진입의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수소버스 대량 보급이 예정됨에 따라 수소 수급상황 및 차량 생산일정 등을 점검하고, 원활한 사업추진을 위해 지자체 및 컨소시엄 참여기관들과 지속적으로 소통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youns@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