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10월 25일(금)
에너지경제 포토

이현주

zoo1004@ekn.kr

이현주기자 기사모음




수주도 투자도 없고…보릿고개 건설업계, 내년도 어렵다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3.11.08 13:49

폐업 건설사 속출, 대형 건설사도 영업이익 급감



공사비 상승, 지방 미분양 심화, 자금조달 어려움 겪어



내년 경영 여건 녹록지 않아…건설수주·투자 각 1.5%·0.3% 감소

62652_58132_1840

▲건설업계가 어느 때보다 힘든 보릿고개를 겪고 있다.사진은 기사와 무관. 픽사베이


[에너지경제신문 이현주 기자] 건설업계가 어느 때보다 힘든 보릿고개를 겪고 있다. 공사비 상승으로 인한 수익성 악화, 지방 미분양 심화, 자금조달 어려움 등으로 인해 폐업 건설사들이 속출하고 있는 모습이다. 내년 경영 여건도 녹록지 않은 만큼 건설사들의 위기감이 더 고조되는 분위기다.


◇폐업 건설사 속출, 대형 건설사도 영업이익 급감

19일 건설산업지식정보시스템(KISCON)에 따르면 올해 들어 지난달까지 폐업을 신고한 건설사(종합·전문공사업 변경·정정·철회 포함)는 총 2860곳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26.5% 증가한 수준이다. 같은 기간 종합건설사 폐업은 455건으로 무려 75%나 급증했다. 종합건설사 폐업건수는 지난 2006년(491건) 이후 역대 최대다.

지난 9월 초 서울회생법원은 시공능력평가 75위인 대우산업개발을 상대로 회생 절차 개시를 결정했다. 또 서울회생법원은 인천지역 기반 중소건설사 국원건설과 대우산업개발, 동흥개발 등을 대상으로 회생 절차에 나섰다. 이 중 국원건설은 지난달 초 최종 부도처리됐다.

이들 외에도 삼호건설, 굿모닝토건, 대우조선해양건설, 에이치엔아이엔씨, 대창기업, 신일건설 등 전국 각지 중소·중견건설사들이 현재 회생 절차를 밟고 있다.

대형 건설사들도 어려움을 겪고 있다. 올해 3분기 대형 건설사의 대부분 영업이익이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하락했다. GS건설과 DL이앤씨는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영업이익이 각각 51.9%(602억원), 30.9%(804억원) 감소했다. 또 삼성물산은 6.5%(3030억원), 대우건설은 7.4%(1902억원), HDC현대산업개발은 10.8%(620억원) 각각 줄었다.

건설사들은 어느 때보다 힘든 시기를 보내고 있다. 부동산 경기 침체 속에서 공사비·인건비 상승으로 인한 수익성 악화, 지방 미분양 심화, 고금리로 인한 자금조달 어려움 등 3중고를 겪고 있는 것이다.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이 분석한 8월 건설공사비지수는 151.26으로 우크라이나 전쟁이 발발한 지난해 2월 142.38보다 6% 상승했다. 2015년 기준 공사비를 100으로 잡았을 때 50% 이상 올랐다.

특히 지방을 중심으로 악성 미분양도 쌓여가고 있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 9월 기준 전국 준공 후 미분양 물량은 9513건으로 전월 대비 1.3% 늘었다. 준공 후 미분양은 건설사가 건물을 다 짓고도 팔지 못해 공사비 회수를 못하는 상황으로 이어져 유동성에 부담을 주는 만큼 악성 미분양으로 불린다. 지역별 준공후 미분양 물량을 보면 지방(7667가구)에 80.7%가 집중돼 있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정부가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과 비(非)아파트 건설자금 등 금융지원에 나섰지만 큰 도움은 되지 않는 것 같다"며 "건설사들이 매우 어려운 시기를 보내고 있다"고 밝혔다.


◇내년 건설수주 1.5%, 건설투자 0.3% 감소 전망

내년에도 경영 여건은 크게 나아지지 않을 전망이 나오면서 건설업계 위기감이 더 부각되고 있다. 신규 수주 감소 및 건설투자 위축이 예상되기 때문이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에 따르면 2024년 국내 건설수주는 전년 대비 1.5% 감소한 187조3000억원을 기록하고, 건설투자도 전년 대비 0.3% 줄어 260조7000억원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민간수주의 경우 토목 수주가 감소하고, 고금리 상황이 지속된 영향으로 건축 수주 또한 부진해 전년 대비 4.0% 감소할 전망이다.

박철한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고금리 상황이 장기화되고, 금리 인하 시기가 불확실한데, 2023년뿐만 아니라 2024년에도 건설기업의 자금조달 어려움은 지속될 것"이라며 "경기회복을 위해서는 인프라 투자 및 건설금융 시장 안정화를 위한 정부의 적극적 역할이 요구되며, 건설기업은 현금 유동성 확보, 사업 포트폴리오 수정 및 맞춤형 대응 전략 수립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zoo1004@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