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현지시간 16일 아이오와주 공화당 경선에서 승리한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 사진=EPA |
[에너지경제신문 성우창 기자] 연초부터 증시 부진이 이어지며 ‘1월 효과’ 기대감이 사라지고 있다. 북한 도발, 중동 확전 우려, 미국·대만 선거 등 지정학적 우려가 국내 증시에 대한 투자 심리를 억누르는 모습이다. 미국의 조기 금리 인하 가능성이 옅어진 것도 투자자 이탈에 영향을 주고 있다.
◇ 2670에서 2400대로 7% 뚝...‘검은 1월’
17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스피 지수는 연초 이후 이날까지 7% 이상 하락하며 2400대에 머물고 있다. 지난달 20일 2600선을 돌파한 후 이달 2일까지 2670대를 넘보며 상승세가 이어졌으나, 이후 내리막길이 계속돼 2500선마저 무너지게 됐다. 지난 3일부터 이날까지 11거래일 중 10거래일이 하락 마감했으며, 12일까지 8거래일 연속 내림세를 기록하기도 했다. 코스닥 지수 역시 3%대 약세를 띠는 중이다.
외국인·기관 투자자들의 이탈이 계속되며 약세장이 길어지는 분위기다. 연초 이후 지난 16일까지 코스피 시장에서 기관 투자자 홀로 7조7577억원 순매도세를 보였다. 지난 12일부터 이날까지는 외국인이 1조원대를 팔아치워 지수 하락을 주도해, 사실상 개인 혼자 증시를 떠받치는 형국이다.
기대했던 ‘1월 효과’는 사라지고 사실상 ‘검은 1월’이 확실시되는 중이다. 1월 효과란 뚜렷한 호재 없이 매년 1월 증시가 활황을 띠며 월간 지수 상승률이 상승세를 보인다는 의미의 용어다.
◇ 주요 선거서부터 북한 도발까지 지정학적 우려 커져
지구촌을 휩싸고 지정학적 우려가 커진 것이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다. 지난해 북한 측에서 여러 가지 적대적 발언이 쏟아진 데 이어 새해에 벌어진 연평도 인근 포격 도발, 중거리 탄도 미사일 발사 사태가 국내 증시의 매력을 떨어뜨리고 있다. 지난 15일에는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최고인민회의에서 ‘남북통일 포기’, ‘대남 주적 선언’을 한 것도 긴장감을 끌어올렸다.
해외 상황도 마찬가지다. 러시아-우크라이나 및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이 길어지는 가운데, 예멘 후티 반군의 홍해 점거가 글로벌 유통망에 악영향을 끼쳤다. 최근 진행된 대만 정부총통 선거에서는 ‘친미·반중파’로 분류되는 라이칭더 후보가 당선되면서 동북아시아 정세에 파장을 일으켰다. 간밤 미국 아이오와주 공화당 경선에서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압승한 것도 지정학적 리스크를 한층 끌어올렸다는 분석이 나온다.
미국 기준 금리 인하 기대감이 주춤한 것도 위험자산 투심 저하에 한몫 했다. 이달 공개된 12월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의사록에서 금리 인하 계획이 논의되지 않았고, 유럽중앙은행(ECB) 당국자들도 매파적 발언을 언급하면서 글로벌 금리 인하 시점이 멀어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반영되고 있다. 이 영향으로 미 국채 10년물 금리가 심리적 저항선인 4%를 넘어섰고, 한때 1200원대까지 내렸던 원·달러 환율도 1340원대로 급등했다. 이날도 크리스토퍼 윌러 미국 연방준비제도 이사가 조기 금리 인하 기대감에 찬물을 끼얹는 발언을 해 뉴욕 3대 증시가 모두 하락 마감했다.
◇ 업계 "지정학 리스크 안고 가야...관건은 금리 완화"
금융투자업계에서는 통제 불가능한 지정학적 리스크는 안고 매매 기회를 노리는 한편, 언젠가는 다가올 미 연준의 통화정책 완화 시점에 대비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이웅찬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트럼프와 라이칭더가 당선된다고 해서 동아시아에 꼭 전쟁이 터지는 것은 아니다"라며 "어차피 해소할 수 없는 리스크라면 가격에 충분히 반영됐다고 생각하는 수준에서 매수하거나, 리스크 완화를 기대하거나, 이벤트나 노이즈가 발생할 때를 노려 매매하는 방법으로 대응하는 것이 맞다"고 설명했다.
이은택 KB증권 연구원은 "작년 12월 FOMC에서 금리 인하가 언급되자, 한국증시는 미·일 증시보다 강한 상승을 보였다"며 "결국 이 문제는 미 연준의 통화정책 완화 시점에 달렸다"고 밝혔다.
suc@ekn.kr